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메르스 급속 확산, 한국인 유전자 때문일수도"…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메르스 급속 확산, 한국인 유전자 때문일수도"…왜?
AD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미국의 과학학술지 사이언스가 한국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에 대해 "기존 의학계의 통념을 깨고 있다"며 확산의 주요 원인에 대한 전문가들의 분석을 실었다.

주요 과학학술지가 국내 메르스 확산 상황을 보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이언스는 2일(현지시간) 도쿄발 기사에서 메르스 사태의 심각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빠른 확산의 배경에는 한국 정부의 안이한 대응에 더불어 한국인이 가진 유전자 특성 때문일 수도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사이언스는 “2012년 메르스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된 뒤 많은 나라에서 외국여행을 통한 감염자가 발생했지만 여러 사람에게 광범위하게 전파된 것은 (한국이) 처음이고 감염자 수로도 아라비아 반도 밖에서는 최대치”라고 설명했다.


또 “메르스는 사람 간에는 쉽게 감염이 되지 않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며 한국에서 2차·3차 감염이 발생한 것이 이례적이라고 짚었다.


메르스 바이러스는 기관지의 아랫부분인 하부기도를 감염시키는데, 하부기도의 바이러스는 체외로 잘 배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의학계에서는 메르스 바이러스가 사람 간에는 잘 전파되지 않는다고 판단해왔다.


바이러스 전문가인 독일 본대학교의 크리스티안 드로스텐 박사는 “5월15~17일 사이에 최소한 25명의 가족, 보건의료종사자, 다른 환자 들이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확진 판정이 늦어지면서 차단 등 예방조치가 미흡했기 때문”이라며 한국 정부의 안이한 대응을 지적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메르스 관련 자문을 맡고 있는 피터 벤 엠바렉 박사는 “최초의 환자가 이미 다른 계열의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메르스에 감염됐거나, 한국인이 다른 나라 국민보다 메르스에 취약한 유전자 구조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초기 의료진의 부주의가 확산에 일정부분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엠바렉 박사는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사태는 감염된 환자의 호흡을 돕기 위해 기도에 튜브를 넣는 과정(기도삽관)에서 바이러스가 한꺼번에 밖으로 튀어나왔기 때문으로 알려지고 있다”면서 “한국에서도 최초 환자에게 이런 부주의한 조치가 있었는지는 분명치 않다”고 말했다.


일부 바이러스는 특정인의 유전자와 더 쉽게 반응하고 변이를 일으키는데, 한국인의 유전자 특성이 그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국내 감염자들의 메르스 바이러스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해야 한다.


보건복지부는 홍콩대학교(HKU), 네덜란드 에라스무스 메디컬센터 등에 환자로부터 채취한 바이러스 샘플을 보낼 방침이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