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메르스 공포]보건당국 "3차 감염자 추가 발생 가능성 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9초

[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보건당국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 3차 감염 환자 추가 발생 가능성을 인정했다.


권준욱 메르스중앙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은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메르스 일일 정례브리핑을 겸한 관계장관 회의결과 브리핑을 통해 "16번째 확진 환자와 같은 병실을 사용하 사람들 가운데 2명에게서 유전자 양성 반응이 나왔는데 6인실이었던 만큼 5명이 더 있었고 두 건 외 나머지 검사를 진행중이어서 추가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환자 이름 공개 여부에 대해 권 본부장은 "의료인이 환자를 보면서 메르스가 발생했던 의료기관을 확인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서 의료기관과 의사가 보건소에 문의하면 환자 명단을 확인해 긴밀 접촉자인지, 연관있는 사람인지 확인할 수 있게 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병원명 공개에 대해 "(병원명 미공개에 따른) 고민의 많은 부분들이 조금은 근거가 없다는 말씀을 드린다"면서 "메르스는 밀접 접촉을 통해 감염되기 때문에 어떤 환자가 해당 병원에 있었다고 해서 그 병원에 가면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지나친 우려"라고 말했다.

아래는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권준욱 반장, 김우주 대한감염학회 이사장과의 일문일답.


-- 3차 감염자 발생이 관건인 상황에서 환자가 있는 병원 이름을 공개해야 하지않나.
▲(권준욱) 의료인이 환자를 보면서 환자가 메르스가 발생했던 의료기관을 확인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


-- 3차 감염자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은.
▲(권준욱) 16번 환자와 같은 병실 사용한 사람들을 유전자 검사를 통해 2건의 양성이 나왔다. 6인실이니 5명이 더 있었고 두 건의 양성이 나왔고 나머지 검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로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의료기관이나 의료인이 어떻게 해당 병원 방문했는지 확인할 수 있나. 어떤 기저질환이 메르스를 더 악화시키나.
▲(권준욱)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의료기관과 의사가 보건소에 신고, 문의하면 환자 명단을 확인해 긴밀 접촉자인지, 연관있는 사람인지 확인할 수 있게 하려고 한다.
▲(김우주) 첫 번째 위험요인은 50세 이상의 고령자, 기저질환 가운데 만성폐질환자, 천식, 만성신장질환자다. 메르스가 특이하게도 폐를 침범하지만, 콩팥 기능을망가뜨리는 특성이 있다. 당뇨병환자, 면역저하질환(암, HIV), 항암제, 면역억제제,스테로이드 투여한 환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사스와 비교했을 때 메르스의 전염력은.
▲(김우주) 다 코로나바이러스의 변종 바이러스다. 2003년 사스는 4개월 동안 8천여명의 환자가 생겼다. 메르스는 5월 11일 증상발현 후 23일째 25명이다. 평균적으로 1명 정도 발생이다. 결과적으로 한 달이 좀 안 되지만 더 증가해도 월 2천명에비해서는 환자수가 현저히 적다.


-- 지역사회 감염과 3차 감염 차이는. 한 연구자가 메르스 진단키드 개발했다고하는데. 메르스 바이러스 생존기간은.
▲(권준욱) 지역사회 감염이라고 하면 전혀 모르는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나는 감염으로 우리가 추적할 수 있는 의료기관 내 3차 감염과 구분을 해야 한다.
▲(김우주) 국내 연구자가 개발한 것은 인체용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 환경 내 바이러스 생존은 0~24℃에서 최대 48시간 생존한다고 되어 있는데 온도나 습도, 주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 환자 상태는 어떤가.
▲ (권준욱) 불안정한 환자는 3번, 14번, 16번 환자다. 새로 추가된 23번 환자는 호흡곤란 등으로 내원했고 24번 환자는 암 진료를 받은 적 있고 만성질환자다.


-- 병원 이름 공개 의견이 많은데 장관님 생각은.
 ▲ (문형표) 그 같은 고민에 근거가 많지 않다고 본다. 지나친 우려다. 병원 이름을 공개하기보다는 확진 환자 조회시스템을 통해 병원끼리 정보 공유가 바람직하다.


-- 지금까지 의료기관 내 감염이라서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은 작다고 하시는데지역사회로 전파될 가능성은 없다고 확신하지는 지.
▲ (문형표) 근거가 없이 말씀드리는 것은 아니다. 25건의 환자가 발생했는데 의료기관 내에서 감염됐다. 전체 차원에서 대응을 해야 한다.


-- 학부모 영유아 부모들이 불안해한다. 영유아, 어린이들은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 확률이 낮은 것인지.
▲ (김우주) 중동에서 메르스 감염자 연령분포를 보면 연령의 주된 쪽은 50~70대다. 무슨 이유인지는 모르지만, 영유아 메르스 감염률은 낮다. 충분한 데이터는 아직 없지만, 통계적으로 그렇다.


-- 국가지정격리병상 정확한 현황은
▲ (권준욱) 17개소에 실질적으로 한 40명 정도를 수용할 수 있고 민간의료기관은 4개소다.


-- 병원 공개하지 않고 DB화해 의료기관, 의료진에게만 공유해도 유출되지 않나.
▲ (권준욱)의심환자나 격리대상자가 다녀간 병원을 조회하는 것은 보건소 직원들이 조회를 해주기 때문에 보건소 직원은 공공기관의 직원이다. 그러한 정보를 유출했을 때는 바로 우리가 처벌할 수 있다. 의료진은 보건소를 통해 조회된 답을 듣는다.




조태진 기자 tj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