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글로벌 매도세에 亞 채권 시장도 흔들

시계아이콘01분 1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아시아 채권 시장이 미국·유럽 국채 매도세와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 등의 악재를 만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금융위기 이후 급격하게 팽창했던 아시아 채권 시장에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고 11일(현지시간) 경고했다.


그동안 해외 채권 시장 투매 분위기가 아시아 채권 시장에 미치는 충격은 그리 크지 않았다. 아시아 기업들 대부분 자금조달을 위해 채권시장보다는 금융권 대출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 이어진 세계적인 저금리 기조와 미국, 유럽 양적완화에 따라 넘쳐나는 유동성은 최근 수년간 아시아 기업들을 채권시장으로 끌어들였다. 아시아 역시 글로벌 채권 시장 혼란의 충격에서 더 이상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 된 것이다.


딜로직에 따르면 대출 대신 채권 발행을 선택한 아시아 기업들의 비중은 지난 2009년 최고치에 이르렀다. 지난 2008년 이후 지난해까지 아시아 채권 시장은 3배 이상 늘어난 1조400억달러에 이르렀다. 이는 4073억달러를 기록한 기업대출 시장의 2배가 넘는 규모다. 올해 들어서 아시아에서 발행된 채권 규모는 대출액의 3배가 넘는다.

기업들이 너도나도 채권 시장의 문을 두드리면서 첫 발행자들도 급증했다. 지난 5년간 처음으로 채권 발행에 나선 기업들이 조달한 자금은 1340억달러를 기록중이다. 중국 정보기술(IT) 업체 레노보는 지난해 처음으로 15억달러어치의 채권을 발행했다.


아시아 채권 시장에서 해외 투자자들의 영향력을 더 커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신흥국 채권 펀드의 운용 자산은 2008년 이후 2배 늘어난 2조9000억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일부 국가의 경우 이 중 40%가 외국인의 몫이다.


IMF는 "해외 투자자들의 비중이 높은 것은 일부 자산운용사들에 대한 신흥국 정부 및 기업들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의존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들이 한꺼번에 빠져나갈 경우 그만큼 아시아 채권 시장이 받을 충격이 더 크다는 우려다.


해외 투자자들의 입장에서 서방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는 아시아 채권은 좋은 투자처였다. JP모건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아시아 채권의 디폴트율은 0.9%로 글로벌 평균 2.7%를 크게 밑돈다.


하지만 기업들의 자금조달 환경은 과거보다 악화되고 있다. 해외 투자자들은 이제 아시아 채권 매수를 위해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국영 석유업체 페트로나스는 최근 10년 만기 채권 50억달러 어치를 3.5%의 표면금리로 발행했다. 이 회사의 기존 10년물 채권 금리 2.62%를 웃도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채권 발행에 나섰다 실패한 인도 대형 통신사 릴라이언스 커뮤니케이션스는 더 높은 금리를 보장하는 정크등급 채권 3억달러어치를 발행했다.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