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주한미군 예비역협회 만든다…사령관들 워싱턴 회동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아시아경제 백우진 기자] 주한 미군 사령관을 지낸 미국 장성 5명이 6ㆍ25전쟁 이후 한국에서 군 복무한 미군 예비역 장병 협회를 설립하기 위해 나섰다.


주한미군 예비역협회 만든다…사령관들 워싱턴 회동 제임수 서먼 전 주한 미군 사령관
AD

제임스 서먼(2011.7∼2013.10), 월터 샤프(2008.6∼2011.7), 리언 러포트(2002.5∼2006.2), 존 틸럴리(1996.7∼1999.12), 로버트 세네왈드(1982.6∼1984.6) 등 전직 주한미군 사령관 5명은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주미 한국대사관저에 모였다.


샤프 전 사령관은 특파원들과 만나 “이 협회를 통해 한국전쟁 이후 한국에 복무하며 한ㆍ미 동맹을 최강의 동맹으로 만드는데 이바지했던 장병들을 기억하고 명예롭게 받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협회의 활동 계획으로 ▲주한미군 출신 장병 자녀에 대한 장학금 지급 ▲모범장병 선발과 포상 ▲예비역 재방한 행사 지원 등의 친목사업이 논의되고 있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미군은 모두 35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나 정확한 숫자는 집계되지 않고 있다.


양국 국방부는 오는 11월께 협회를 공식으로 창설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


협회를 만들자는 구상은 안호영 주미대사가 2013년 6월 부임 이후 주한미군 출신 인사들의 의견을 수렴해 양국 국방부에 건의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안 대사는 “한미동맹과 연합방위체제 발전을 위해 헌신했던 미군들에게 감사의 뜻을 표할 필요가 있고 앞으로 한미관계를 발전시켜나가는 데서도 주한미군 출신들을 하나로 연계하는 조직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들었다”고 말했다.


한편 6ㆍ25전쟁에 참전한 미군 생존자와 후손에 대해서는 ‘미군 한국전 참전용사 지원재단’(US Korean War Veterans Support Foundation)이 지난해 1월 출범했다.


이 재단은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군 생존자에 대한 의료지원, 가족과 후손에 대한 취업ㆍ교육지원 사업을 편다. 기금은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과 한국에 진출한 미국 기업에서 출연받을 예정이다. 재단 설립은 2013년 7월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된 6ㆍ25전쟁 정건 60주년 기념식에 박근혜 대통령 특사로 참석한 김정훈 의원이 제안해 이뤄졌다.


미 보훈부에서는 한국전 참전용사 생존자의 수를 약 200만명으로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한국전쟁 당시 전 세계에서 복무 중이던 미군을 포함한 숫자다. 국가보훈처는 한국전쟁에 직접 참전한 미군 생존자를 40만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백우진 기자 cobalt10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