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보급이 늘면서 10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 또한 매우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어제 발표한 '2014년 인터넷 중독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만 10세부터 19세까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 속하는 비율은 29.2%로 나타났다. 2013년 25.5%에서 3.7%포인트가 올라가 청소년 인터넷 중독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음을 드러냈다. 지나친 사용으로 금단, 내성, 일상생활에서의 장애 등을 일으키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의 이 같은 청소년 비율은 성인(만 20~59세ㆍ11.3%)의 3배에 육박하는 것이다.
특히 맞벌이 가정 청소년, 저소득층 가정의 청소년이 중독 위험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3~9세 유ㆍ아동의 경우에도 52%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81분에 달했다. 부모가 일터에 나가 있는 사이 집에 있으면서도 대화를 하지 않거나 무관심한 사이에 어린아이들은 스마트폰으로 연결된 인터넷 세상에 빠져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중독 위험군에 속한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사용으로 공부에 지장을 받는다'거나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하다'는 등의 증상을 경험했다고 답한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스마트폰 중독은 학업 장애는 물론 가족 간의 대화 단절과 대인관계 장애, 우울증과 사회 부적응 등 심각한 폐해를 초래할 수 있다. 정부가 실태조사와 함께 종합대책을 내놓은 것은 그같은 폐해의 심각성을 인식한 결과로 보인다. 정부는 중독위험 예방과 해소를 위해 149개 협력병원과 연계해 고위험군 청소년을 치료하고 저소득ㆍ취약계층에 대해서는 50만원 이내의 치료비를 지원키로 했다. 교사의 게임과몰입 예방지도ㆍ소통역량을 강화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상담과 예방 치료, 유관기관 협력이 골자인 정부 대책이 기대한 효과를 낼지는 미지수다. 정부가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교사에게 스마트폰 중독 상담이라는 새로운 부담을 지운다고 해도 청소년의 자각과 자발적인 협조가 없다면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가정에서 자녀가 어릴 때부터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폐해를 알리고 올바른 사용 습관을 길러 이용을 절제하도록 하는 부모의 노력이 선행돼야만 정책의 효과도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