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골프를 배우자] "골프공도 실력 따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초급자는 저가공도 무난, 이름값보다 스핀력, 타구감 따져봐야

[골프를 배우자] "골프공도 실력 따라" 최근 메이커들은 골프공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성능에 따라 모델을 다양하게 나누고 있는 추이다. 사진=Getty images/멀티비츠
AD


[아시아경제 손은정 기자] "궁합이 맞는 골프공을 찾아라."

아마추어골퍼들은 어떻게 골프공을 선택할까? 캘러웨이골프가 조사한 재미있는 설문 결과가 있다. 자신의 스윙스피드를 아느냐, 모르느냐에 따라 그 기준이 다르다는 사실이다. 스윙스피드를 아는 골퍼들은 비거리와 스핀량 등 성능을 1위(37.2%), 타구감 2위(35.8%), 브랜드 3위(17.0%) 순으로 꼽았다. 스윙스피드를 모르는 골퍼들은 반면 브랜드(29.3%)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스윙 스피드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메이커들이 최근 스윙 스피드에 따라 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품을 아예 나눠서 출시하는 이유다. 보통은 최첨단 소재를 사용하고, 피스가 많은 프리미엄 공일수록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비싼 공이라는 말과도 일맥상통한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효과가 있는 건 아니다. 블라인드 테스트를 했을 때 성능 차이를 알 정도 수준의 골퍼들은 많지 않다.

경제성을 따진다면 활용하지도 못할 비싼 공을 굳이 살 이유가 없다는 말이다. 90타 이상을 친다면 2피스 등 저가공으로도 문제없다. 80대 이내로 진입했다면 성능을 따져 꼼꼼하게 고를 필요가 있다. 기량에 따라 서로 다른 피스와 경도 등을 감안해 공을 고르면 된다. 같은 모델이라도 비거리와 스핀력, 타구감 등에 따라 세분화해 선택의 폭을 넓힌 경우도 있다.


타이틀리스트 '프로 v1'과 'v1x'가 대표적이다. 2000년 1세대에서 출발해 2년마다 업그레이드 됐고, 올해가 8세대다. 새로운 배합의 결경화성 우레탄을 채택해 스핀과 컨트롤 성능을 더욱 향상시켰다. 롱게임에서 탄도가 높은 편이라면 v1, 반대로 낮아서 고민이라면 v1x를 사용하면 된다. 타구감은 v1이 부드럽다. 브리지스톤은 아예 스윙 스피드를 나눴다. 'B330' 시리즈다. 105마일 이상은 4피스 구조의 B330과 B330-S, 105마일 이하는 3피스 B330-RX 모델이 적합하다.


코어에 적용된 하이드로코어 기술, 일명 '물 한 방울의 비밀'이 핵심이다. 코어의 밀도가 높아지고, 물의 압력이 임팩트 시 최대의 스프링 효과를 일으킨다. 캘러웨이도 비슷하다. 스피드가 아주 느린 골퍼를 위해 '슈퍼 소프트'와 '크롬 소프트'를 출시했다. 압축강도가 각각 38, 65에 불과하다. "헤드스피드가 느린 아마추어골퍼가 임팩트 때 프로와 같은 컴프레션을 느끼기 위해서는 압축강도가 낮아야 한다"는 설명이다.



손은정 기자 ej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