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귀농ㆍ귀촌 물결, 정주여건 개선이 관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0분 57초

도시 생활을 청산하고 지방과 농촌으로 돌아간 귀농ㆍ귀촌 가구가 지난해 처음으로 4만가구를 넘어섰다고 한다. 비교적 젊은 나이에 농촌으로 발길을 돌리는 사람들도 크게 늘었다.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본격화되고 교통과 정보통신망의 발달 등으로 농촌 생활의 불편함이 줄어들면 귀농ㆍ귀촌 인구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귀농ㆍ귀촌은 농촌 지역 활성화는 물론, 일자리 창출과 국가의 복지 지출 축소 등 긍정적 효과가 적지 않은 만큼 다각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어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ㆍ귀촌한 규모는 4만4586가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2013년보다 37.5%나 늘어났다. 본업을 농업으로 바꾼 귀농인과 삶의 터전을 농촌으로 옮긴 귀촌인은 2001년 880가구에 불과했지만 2011년 1만가구를 돌파한 뒤 매년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현상'으로 자리잡았다.

눈에 띄는 점은 상대적으로 젊은 사람들의 귀농ㆍ귀촌 증가세다. 가구주가 40대 이하인 귀농ㆍ귀촌 가구는 2013년보다 43%나 늘어났다. 귀농ㆍ귀촌이 베이비부머 이외의 세대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귀촌 지역은 경기가 가장 많았으나 비중(30.3%)은 감소세를 보였다. 경기 이외 지역의 비중이 70%까지 늘어난 점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제주(1649%), 전남(267%), 경북(137%) 등 증가세가 높았다.


젊은 세대의 귀농ㆍ귀촌은 농촌에도 새로운 활력이 된다. 새로운 인구 유입과 그들의 경제활동으로 일자리가 늘고 지방세 세수도 늘어난 군(郡)이 여럿 등장했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귀농인들이 환금성 높은 작물을 재배해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판매하거나 체험관광 등의 요소를 접목해 부가가치를 높인 사례도 적지 않다.

수명이 길어지면서 은퇴자가 늘어나면 귀농ㆍ귀촌 현상은 더욱 가속화할 것이 분명하다. 그렇지만 농촌 생활의 현실은 생각만큼 녹록지 않다. 준비 없이 농촌에 내려가 실패하고 되돌아오는 경우도 적지 않다. 정부와 지자체는 교육ㆍ보건ㆍ문화 인프라를 확충해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 귀농ㆍ귀촌인들의 사업활동을 지원하는 다각적인 정책을 펴야 한다. 이들이 정착에 성공한다면 은퇴를 앞둔 세대나 젊은 세대에게 농촌은 새로운 기회의 땅이 될 것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