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눈치없는 서초구 때문에…" 난처해진 삼성그룹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17일 서울시 강남역 침수 대책 발표 후 '삼성 책임론' 다시 불거져...서초구청이 부채질...서울환경련 '도의적 책임 ·재정분담론' 제기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서울시가 지난 17일 발표한 강남역 일대 침수 대책의 불똥이 삼성과 서초구로 튀었다. 2010~2011년 연속으로 발생한 강남역 일대 침수의 원인이 결국 삼성 사옥 건설공사 당시 관리감독 부실 때문이라는 '책임론'을 다시 끌어낸 것이다.


서초구는 도시계획 오류로 인해 침수의 원인을 직접 제공한 당사자이면서도 시 대책 발표 후 수천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돼야 할 근본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서초구는 시의 장단기 대책에 대해 '미봉책'이라고 몰아붙였다. 서초구는 "시의 대책으로는 2010년과 2011년 당시의 침수상황과 이상기후 변화에 대처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라며 "장기 대책인 유역분리터널과 대심도 터널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라"라고 촉구했다.


서초구의 이같은 입장 발표는 그러나 곧바로 역풍을 맞았다.

시민단체들은 적반하장이라고 서초구를 향해 날을 세웠다. 도시계획 관리를 잘못해 240억원이 들어간 하수관거 공사를 무용지물로 만들었다는 부분에 대해 반성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은 18일 성명을 내 "감사원 발표에도 반성은커녕 '대심도 터널설치' 등 천문학적 규모의 예산이 드는 또 다른 토목사업을 들먹이며 강남역 침수문제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감사원은 감사를 통해 삼성 본사 건물과 강남역을 연결하는 지하도 때문에 서초구청이 하수관거를 일자형이 아닌 역경사형 관로로 묻어 역류가 발생해 침수가 되고 있다는 결과를 2012년 발표한 바 있다.


서울환경련은 이에 "강남역 침수의 본질적인 책임은 명백히 서초구에 있다"며 "서초구는 피해를 본 서초구민과 서울시민들에게 용서를 구하고 자신들의 과오에 대해 철저히 반성하고 자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 단체는 삼성 측을 향해서도 도의적 책임 및 재정 분담론을 거론했다. "삼성은 글로벌기업으로서의 책임있는 자세를 보이고 잘못된 하수관을 바로잡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면서 "행정적ㆍ법률적 책임은 없지만 도의적으로 삼성그룹의 편의를 위해 서초구가 봐주기를 하면서 발생한 일이기 때문에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삼성 측은 법적 책임은 없지만 여론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고위 관계자는 시 대책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서초구청이 허가를 내줄 때 설계를 보고 문제없다고 판단을 했으니 허가해준 것으로 보고 있다"며 "시와 서초구 등 관계기관들과 시간을 갖고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