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산 해수면 1m 상승하면 경제적손실 4000억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6초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부산시 해수면이 1m 상승하면 경제적 손실이 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환경부와 기상청이 발간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4'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해 생태계 분포와 종 변화, 식량생산 저하, 질병발생, 사망자 증가, 지역별·산업별 갈등 증가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연평균 기온과 해수면의 상승이 관측되고 있고, 인위적인 온실가스 증가가 주요인이라고 보고서는 꼽았다.


또 화석연료의 연소와 토지이용의 변화로 인해 이산화탄소의 방출이 증가하고 관측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도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했다.

우리나라 연평균 기온은 1954년부터 1999년에는 0.23℃/10년, 1981년부터 2010년에는 0.41℃/10년, 2001년부터 2010년에는 0.5℃/10년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주변 해양 수온과 해수면 상승률도 전지구 평균인 0.85℃, 1.4mm/년 보다 약 2∼3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보고서는 부산시 해운대구 해수면이 1m 상승하면 경제적 손실액이 3963억원에 달하며,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혼잡비용은 약 7조2670억원으로 예상했다.


또 미래(2036∼2040년) 폭염에 의한 서울 지역의 사망자수는 인구 10만 명당 1.5명으로 2001~2010년 0.7명 대비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한반도를 대상으로 지난해까지 발표된 총 2500여편의 국내·외 논문과 보고서의 연구결과를 분석·평가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