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프로필]새정치연합 당대표, 문재인은 누구인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18대 대통령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당 전면에서 물러났던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8일 열린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에 선출되면서 2년 5개월 만에 당의 중심으로 화려하게 복귀했다.


[프로필]새정치연합 당대표, 문재인은 누구인가 문재인
AD

문 신임 대표는 18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제1야당의 대권주자로 나서 1496만표(득표율 48%)를 얻어 전 국민 절반 가까이의 지지를 받았으나 결국 박근혜 대통령(51.5%)에 100만표 차이로 패배의 쓴맛을 봤다. 때문에 이번 전당대회의 승리는 그가 다시 한 번 대권으로 가는 정치적 입지를 다지는 계기가 될 지 관심을 끈다.

부산 지역의 변호사이자 시민운동가였던 문 대표가 중앙정치에 발을 딛게 된 것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과의 인연 때문이었다. 1980년 사법고시에 합격한 뒤 노 전 대통령과 함께 법률사무소를 연 인연으로 평생의 벗이자 동반자 관계를 맺었다. 노 전 대통령의 재야 시절 함께 부산지역에서 인권변호사 등으로 활약하며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던 문 대표는 2002년 대선에서 노 전 대통령의 부산 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았다.


노 전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에는 청와대에 들어와 민정수석을 맡았다. 하지만 청와대 생활을 한지 1년이 되지 그만뒀다. 총선에 출마해달라는 집권여당의 요구를 뿌리치면서 생긴 갈등 탓이었다.

히말라야 트레킹을 떠났던 그는 영자신문을 통해 노 전 대통령이 탄핵 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급히 귀국해 변호인단을 꾸렸다. 탄핵이 기각 된 뒤 시민사회수석을 맡았다, 민정수석을 거쳐 2007년 3월 비서실장을 맡았다.


퇴임 후 노 전 대통령과 함께 지방에 내려갔다. 이명박 정부와 검찰의 참여정부 압박이 닥쳤을 때 변호인과 대변인으로 나서서 노 전 대통령을 지켰다. 노 전 대통령이 서거했을 때에는 장의위원회 운영위원장을 맡았으며 노무현 재단 이사장을 맡았다.


2011년 자서전 '운명'을 통해 정치에 나서게 된 그는 정권교체를 명분으로 19대 총선에 부산 사상 지역구에 출마하며 정치인으로 본격적으로 나섰다. 대선 패배 후 2007년 남북정상회담대화록 공개 논란을 겪었다. 대선 1주년이 된 시점에 '1219 끝이 시작이다'를 내는 등 보폭을 넓혀가며 재기를 노렸다.


문 대표는 온화한 성격의 원칙론자로 통한다. 이번 전당대회를 거치면서 정치인으로서 '권력 의지'를 갖게 됐다는 안팎의 평가도 나온다.


▲1953년 경남 거제 ▲경희대학교 법대 졸업 ▲육군 병장 만기제대 ▲부산 국민운동본부 상임집행위원 ▲법무법인 부산 대표 변호사 ▲청와대 민정수석, 청와대 시민사회수석, 청와대 비서실장 ▲제2차 남북정상회담 추진위원회 위원장 ▲고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의위원회 상임집행위원장 ▲노무현재단 이사장 ▲혁신과 통합 상임공동대표 ▲19대 국회의원 ▲18대 대통령후보 ▲새정치민주연합 당대표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