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재무설계]은퇴 이후를 위한 3가지 키워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은퇴 이후 삶에 대한 관심이 높다. 유사 이래 처음 겪는 고령화, 저출산, 저금리의 늪은 은퇴 이후 삶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기에 더욱 그렇다.


30~40년이 훌쩍 넘을 수도 있는 은퇴 이후의 삶에 대한 준비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들 한다. 그런데 그 구체적 준비 이전에 먼저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사항이 있다. 바로 '상상'이다.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은퇴 이후 삶을 먼저 생생히 그려보는 것이다.

출근을 위해 분산 떨 필요 없는 아침, 직장동료보다 얼굴 볼일 적었던 배우자 얼굴 매일 보기, 스케줄로 빼곡했던 다이어리가 아닌 여백이 더 많은 다이어리, 쉴 새 없이 울려대던 휴대전화 대신 하루 종일 조용한 그래서 자꾸만 들여다보게 되는 휴대전화, 매월 통장 잔고를 바라보며 내쉬는 한숨 등등. 75세 어느 하루 속의 내 모습이 낯설다면, 그리고 측은하게 생각된다면 여러분은 지금 어떤 노력을 하고 싶은가?


성공적 은퇴 이후의 삶을 위한 키워드 3가지를 필자는 '일, 사람, 돈'으로 꼽겠다. 가장 중요한 한 가지를 꼽으라면 당연 '일'이다. 일은 은퇴 이후 필요한 모든 요소를 충족시켜 줄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일! 일은 자신의 존재가치 발현을 위한 가장 중요한 도구이다. 일은 지속 성장을 돕는다. 매슬로우의 인간의 욕구 5단계 중 최상위단계인 자아실현의 욕구를 삶이 다하는 날까지 지속시켜 줄 가능성이 높다. 또 일은 건강한 인간관계, 마르지 않는 소득의 원천이 된다.


사람! 노인자살률 인구 10만명 당 81.9명, OECD 가입국 중 1위, 노인 자살은 빈곤도 주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외로움이 가장 큰 요인으로 주목된다. 인간의 관계의 동물이라고 했다. 가족, 친구들 간의 관계 속에서 행복과 즐거움을 느끼기에 은퇴 이후 행복한 삶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사람이다.


돈!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빈곤율은 2012년 기준 48.5%로 이 또한 OECD가입국 중 1위이다. 돈은 삶을 위한 기본 수단이다. 수명의 불확실성이 필요한 돈의 규모예측을 어렵게 하지만 은퇴 이후 삶에 매월 생활비뿐만 아니라 의료자금 등 비상자금의 확보는 은퇴 이후 삶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한 번도 가보지 않는 긴 삶을 상상하고 그 삶에 꼭 필요한 사항을 인지했다면 이제 남은 것은 행동이다. 30~40년 이상의 삶의 위한 준비는 체계적이고 단계적이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에 더 집중해야 한다. 그것이 일이라면 지금부터 자신이 좋아하는 것, 잘할 수 있는 것, 가치 있다고 여기는 것을 탐색하는 일부터, 부족한 부분이 사람, 즉 인간관계라면 내 주변의 소중한 사람을 잘 챙기는 것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은퇴 이후 원만한 부부관계는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부족한 부분이 돈이라면 3층 연금체계를 다시 점검해보고 현재 삶을 위한 자금을 조금 양보하여 부족한 은퇴 생활비를 위한 저축, 투자부분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재무설계]은퇴 이후를 위한 3가지 키워드
AD

글=박원주 행복가정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