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우리 조선 수출이 2011년 500억 달러대의 고점을 쉽사리 회복하지 못하는 가운데, 중국의 가파른 성장으로 경쟁이 격화되고 있어 조선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는 등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2일 '우리 조선수출 향방은?' 보고서에서 최근 중국 조선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어 이런 추세가 지속될 경우 우리 조선 수출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로서는 한ㆍ중 간의 주력 선종이 달라 중국 조선산업의 성장이 우리 조선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글로벌 경기 회복이 지연돼 신규 발주가 감소하고 저선가 기조가 지속될 시 우리 조선사의 '제값받기'가 힘들어져 신규투자 여력이 부족할 수 있고, 이는 중국 조선사들의 추격에 단초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우리 조선수출액은 397억 달러(잠정치)로 전년 대비 6.8% 증가했지만, 회복이 예상됐던 해양플랜트의 수요가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감소함에 따라 11월까지의 선박 수주량이 전년 동기 대비 35.6%나 급감하는 등 조선시황 불안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중국은 2007년 수주량에서 처음으로 세계 1위를 차지한 뒤, 2010년에는 조선 3대 지표인 ▲건조량 ▲수주량 ▲수주잔량에서 모두 세계 1위를 차지하는 등 폭발적인 성장을 지속해 우리의 최대 경쟁국으로 부상했다.
이와 같은 중국 조선산업의 성장은 국수국조(國輸國造) 정책으로 대표되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커다란 원동력이 되었으며, 특히 중국의 해외 선사 및 대형 자원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막대한 금융지원은 자국 조선사가 관련 선박을 수주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국수국조(國輸國造) 정책이란 중국의 수출입 화물은 중국 선박으로 수송하고, 중국 선박도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해야 한다는 중국 정부의 자국 조선산업 육성책을 말한다.
보고서는 지난해 우리 조선사의 수주량 감소는 글로벌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해운시장의 침체와 해양플랜트 수요 감소가 주원인이었으며, 중국의 성장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되는 바 향후 글로벌 경기의 회복이 가시화 될 경우 우리 조선수출도 동반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중국이 대형 조선사를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특수선, 해양플랜트 관련 기술을 빠르게 축적하고 있어 우리 업체들이 현재의 기술 격차를 더욱 공고히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정덕 무역협회 연구원은 "우리의 강점인 해양플랜트는 국제 원자재 가격 등락에 따라 발주 수요의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상선분야의 경쟁력 또한 지속적으로 제고해야 한다"면서 "특히 대형 조선사에 비해 운영비와 관리비가 낮아 가격경쟁력 확보가 용이한 중ㆍ소 조선사를 중심으로 시리즈 범용상선 수주에 적극 나서는 등 상선시장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