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올 1분기 수출, 더디지만 안정적 출발 전망"

시계아이콘01분 3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올해 1분기 우리 수출은 불안정한 세계경기 가운데 지난해 4분기 수준의 증가세를 보여 더디지만 안정적인 출발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됐다.


KOTRA는 12일 총 113개 무역관에서 바이어 및 주재상사 직원 22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2015년 1분기 수출선행지수가 52.0을 기록했다며 이 같이 예상했다.

이는 지난 4분기 대비 0.1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지난 분기 수준의 수출이 기대되나 환율 불안 및 일부 국가 경기부진 등 대외적 여건은 회복을 다소 더디게 만들 전망이다.


수출선행지수는 해외 바이어, 주재상사들의 주문 동향을 토대로 수출경기를 예측하는 것으로 50 이상이면 前분기 대비 수출호조, 50 미만이면 전분기 대비 수출부진을 의미한다.

가격경쟁력지수를 제외한 보조지수는 소폭 하락했다. 해외바이어 및 주재상사 근무자들의 현지 체감경기를 지수화한 수입국경기지수는 지난 4분기 대비 0.9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경기부진을 겪고 있는 일본과 유가하락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는 CIS지역 하락폭이 크게 나타났다. 우리제품에 대한 품질경쟁력지수는 0.8포인트 하락했지만, 기준치를 상회한 55.5포인트를 기록해 양호한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가격경쟁력지수는 0.5포인트 소폭 상승했으나 47.7포인트로 여전히 기준치를 하회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의 통화긴축 전망에 따른 유로ㆍ엔화가치 하락, 루블화 약세 심화로 유럽, 일본과 CIS 지역의 가격경쟁력 지수가 크게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중ㆍ고속 성장정책 기조의 중국(60.1) 수출선행지수가 전분기 대비 5.6포인트 상승하여 수출이 호조세를 보일 전망이며, 경기회복이 뚜렷한 북미(58.6) 지역 또한 수출 증가가 예상된다. 유럽(54.0)과 중동아(52.7), 아시아(52.6) 지역도 지수가 지난 분기보다 소폭 상승해 수출여건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중남미(47.2)는 국제 원자재가격 하락과 브라질, 베네수엘라 등 경기 불안국 영향으로 지수가 전분기 대비 1.4포인트 하락하여 수출 감소가 지속될 전망이다. 일본(35.8)도 엔저 지속에 대한 우려와 소재산업에서 우리제품과 가격경쟁 심화가 예상되면서 지수가 9.4포인트 하락해 여전히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가 급속하게 악화된 CIS(33.0)지역은 유가 하락과 루블화 가치 급락에 따라 러시아 경제위기가 확대되면서 우리 수출을 더욱 위축시킬 전망이다.


품목별로는 컴퓨터(59.3), 무선통신(58.6), 식품류(58.6), 자동차(56.8), 가전(55.2) 등 수출 증가가 예상된다. 컴퓨터와 무선통신은 지수가 각각 8.3포인트, 6.9포인트 상승하여 수출이 전분기 보다 호조세를 보일 전망이며, 특히 자동차의 경우 지수가 14.8포인트 대폭 상승하였는데 신차효과에 힘입어 수출여건이 상당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LCD(53.5)는 중국제품의 공급과잉 등 영향에 따라 8.1포인트 하락했으나 여전히 기준치를 상회하여 양호한 수출을 보일 전망이다. 자동차부품(51.7)과 섬유류(50.9)는 지수가 전분기 대비 소폭 상승해 수출 증가가 예상된다.


반도체(47.2)는 엔저 지속에 따른 부품 수출경쟁력 약화, 신흥국 초저가 스마트폰 물량 급증에 따른 반도체 수요구조 변화 등으로 16.0포인트 급락했다. 한편 철강(48.4)은 지수의 상승에도 기준치에 미치지 못해 여전히 부진할 것으로 보인다.


석유화학(49.5), 석유제품(47.6)의 경우 지수가 기준치를 밑도는 수준으로 하락했는데, 국제유가 하락 등 외부적 영향이 확대됨에 따라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일반기계(43.9)도 5.4포인트 하락으로 수출이 부진할 전망이다.


KOTRA 관계자는 "2015년 1분기 우리의 수출여건은 일본ㆍCIS 중심 경기부진과 환율 불안정 등 위험요인이 산재하고 있으나, 미국의 경기회복에서 긍정적인 기대를 해볼 수 있다"면서 "우리 기업은 FTA 체결국 중심으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우리제품의 품질 또한 향상시킴으로써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고하게 다져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