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 평창올림픽, ‘빚잔치’를 피하려면

시계아이콘00분 53초 소요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최문순 강원도지사의 남북 분산개최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다. 그러자 강원도는 “평화올림픽 등 상징성을 고려한 아이디어 차원”이라며 애써 진화에 나섰고 정부와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도 “더는 논란이 발생하지 않길 바란다”며 분산개최 불가 방침을 재확인했다.


올림픽을 불과 3년 남겨두고 이런저런 논란에 휩싸이는 것은 일단 바람직하지 않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 그러나 가뜩이나 살림살이가 열악한 강원도와 역시 재정난을 겪고 있는 정부가 투입해야 할 경기장과 관련 시설 건설비에 비해 사후 활용방안이 마땅치 않다는 점을 생각하면 오히려 지금이라도 평창올림픽을 합리적·경제적으로 개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를 해야 한다.

과거 대규모 국제대회를 개최했던 외국의 도시들이 ‘빚잔치’에 허덕이고 있다는 점을 끄집어낼 필요도 없다. 바로 지난해 9월 아시안게임을 치렀던 우리의 인천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 생생한 반면교사가 되고 있다.


인천시는 아시아드주경기장 등 16개 신설 경기장을 짓느라 총 1조7224억원을 썼다. 이중 1조2523억원은 지방채 발행을 통해 시비로 충당했는데 올해부터 2029년까지 매년 673억원에서 최대 1573억원의 부채를 갚아야 한다. 제2도시철도 건설 사업비 등 기존 채무까지 더하면 인천시가 당장 올해 갚아야 할 돈은 5400억원에 달한다.


반면 대회가 끝난 후 3개월 넘게 경기장은 방치돼 있다. 수익시설 유치도 제대로 안 되고 있다. 인천시는 아시안게임을 치르기 전에 분명 기존 문학경기장을 활용할 수도 있었지만 이를 무시한 채 새로 경기장 건설을 강행하면서 이 같은 사태를 자초했다.


평창올림픽도 이런 인천시의 전철을 밟지 않으리라 장담하기 어렵다. 강원도와 정부는 IOC조차 후유증을 우려해 분산개최를 제안한 그 배경을 잘 들여다봐야 할 것이다. 단 며칠간의 축제를 위해 불안한 요소들을 애써 감추기엔 지차제 살림이 너무 버거운 현실이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