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초동여담]분청사기 추상화의 비밀

시계아이콘00분 55초 소요

[초동여담]분청사기 추상화의 비밀 분청사기
AD

일전에 한 백화점에서 개최한 분청사기 전시회에서 무심히 슥슥 그은 듯하면서도 과감하고 간결한 선(線)의 매력을 만나고 왔다.


혜곡 최순우는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에서 분청사기를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어른의 솜씨로 보면 너무 치기가 넘치고 어린이의 일로 보면 그 도안의 짜임새나 필력은 마치 요즘 화가들의 멋진 소묘에 비길 만도 해서 사뭇 근대적인 감각을 느끼게 해준다."

분청사기의 근대적 감각은 현대 추상미술을 떠올리게 한다. 최순우는 "장난기가 가득 어렸으면서도 현대 추상미술의 뺨을 칠 만큼 짜임새가 있는 선의 구성은 마치 폴 클레의 작품을 보는 듯"하다고 들려줬다.


혜곡에 따르면 추상적인 무늬가 그려진 분청사기는 호남지방 각지에서 15세기 무렵부터 다량 생산된다. 대표적인 도요지는 무등산 금곡마을이었다. 분청사기는 약 150년간 제작된 뒤 명맥이 끊긴다.

조선에서는 어떻게 서양보다 500년 먼저 분청사기를 화폭 삼은 추상미술이 싹텄을까. 그 추상미술이 계승 발전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나는 분청사기가 고려 청자에서 조선 백자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빚어졌다는 데 그 답이 있다고 추측한다. 고려 청자가 도달한 최고의 미적 경지는 당시 큰 규모로 발달한 시장의 수요에 부응한 것이었다. 고려 청자는 국제교역에서 고가에 거래됐고 고려 도공은 빼어난 솜씨로 도자기 한 점 한 점에 예술혼을 불어넣었다.


조선이 개국하자 해외시장이 막혔고 국내시장도 폐쇄됐다. 조선은 개국 이후 상당 기간 나라에서 사용할 도자기를 각 지방에서 진상받았다. 저마다 당대 최고의 예술가를 자부하던 도공들은 값을 쳐주는 시장도 작품을 알아주는 고객도 사라지자 예전처럼 완벽한 도자기를 빚을 동기를 잃어버리게 됐다. 숨막히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경쟁에서 풀려난 도공들은 예술적인 흥취를 붓 가는 대로 표현하게 됐고 그 결과 분청사기가 태어나게 됐다고 나는 상상한다.


분청사기는 조정에서 경기도 광주에 관요를 설치해 백자와 청화백자를 생산하도록 하면서 점차 생산이 줄었다.






백우진 국제부 선임기자 cobalt10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