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내년에 금리가 오르면 한계가구 중 일부는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를 맞을 수 있다"고 했다.
이 총재는 이날 저녁 매경이코노미스트클럽 강연에서 "한계가구 문제는 통화당국의 (정책) 영역이 아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다만 가계부채가 대규모 대출 부실로 이어져 금융시스템에 위기를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소득이 있는 계층인 상위 3분위가 빚의 85%를 갖고 있어 대규모 부실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했다. 다만 "(이는) 가계 자산의 상당부분은 실물자산, 주택가격이 어느 정도 받쳐준다는 전제에서 그렇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금리정책의 작동과 관련해서는 "금융시장에서는 잘 작동하는데 실물경제에 대한 영향은 시차가 있어 기다려봐야 한다"며 "경기의 불확실성이 커져서 소비와 투자로 가는 연결고리는 약해진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수출대기업의 해외생산 비중 확대 등도 실물경제에 대한 통화정책의 효과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또 인구 고령화로 소비성향이 높은 젊은층 인구가 줄어드는 것도 정책효과를 제약한다고 봤다.
이 총재는 아베노믹스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 "과정을 면밀하게 분석 중"이라고 답했다. 엔저 대응책으로 금리 정책을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않고 의도하지도 않는다며 "다만 시장에서 쏠림 현상이 있다면 시장안정 차원에서는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빠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고 했다. 현재 물가상승률이 낮은 것은 공급요인이 더 크다고 판단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