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장에서]"관료라도.." 금융위원장 발언, 이번에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현장에서]"관료라도.." 금융위원장 발언, 이번에도? .
AD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관료도 능력이나 전문성이 있으면 금융그룹 회장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KB금융지주 회장 선출이 한창이던 지난해 6월 초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출입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꺼낸 말이다. 관료(재무부) 출신인 임영록 당시 KB금융 사장이 지주 회장에 유력하게 거론되던 때였다. 금융당국 수장의 이 한마디는 '사실상 모피아끼리 짜고 친 것 아니냐'는 시각과 함께 관치금융 논란에 휩싸였다. 며칠 후 KB금융 사외이사들은 임영록 사장을 만장일치로 KB금융지주 회장으로 뽑았다.

그로부터 15개월이 흐른 지난 17일, 임 회장은 사외이들로부터 해임을 당해 불명예 퇴진했다. 이건호 전 국민은행장과 주전산기 교체 문제로 인한 갈등이 발단이 됐다. 회장과 행장이 권력 다툼을 벌이면서 리딩뱅크의 위상은 땅에 떨어졌고, 영업 실적은 곤두박질 치는 등 KB금융은 엄청난 타격을 입었다. 이번 사태의 원인은 '관치(官治)'와 '낙하산 인사'에 있다는 것이 금융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금융권에 관치와 낙하산 인사의 폐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MB 정부 시절 금융권에선 이른바 '4대 천왕'이 유명했다. 4대 금융지주 회장이 모두 MB맨으로 채워지면서 붙여진 별칭이다. 국가적으로 막중한 금융산업을 대통령 지인들에게 맡긴 후진적인 나라는 세계 어디에도 없다.


경영능력과 전문성보다 권력과의 친소관계나 대선 논공행상에 따라 금융회사 수장이 결정되는 후진적 지배구조로는 우물 안 개구리 신세를 면할 길이 없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관치와 낙하산 인사는 경제대국의 위상에 걸맞지 않게 은행산업의 낙후성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원인이자 결과이기도 하다.


KB금융 이사회가 오늘부터 차기 회장 인선 작업에 착수한다. 관치와 낙하산 인사로 인한 최고경영자(CEO) 리스크가 더 이상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돼서는 안 될 일이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