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Q "새 경제팀이 최우선 과제인 내수 진작을 위해 규제 개혁, 금리 인하, 추경 편성 등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냐?"
A "대체로 동의한다"
9일 인사청문회. 박명재 새누리당 의원의 질문에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가 한 대답이다. 자본시장은 규제 개혁, 추경 편성보단 ‘금리 인하’에 방점을 찍었고 시장은 움직였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2.6% 아래까지 하락했다.
시장전문가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각국이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을 쏟아냈지만 우리만은 '정책의 공백기'에 있었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한다. 전 세계가 양적완화에 중독될 정도로 대대적인 '돈풀기'에 나서고 금리를 마이너스까지 내리는 초강수안을 내놨지만 우리만 잠잠했다는 얘기다.
그래서인지 당장 오늘은 아니더라도 8월 기준금리 인하를 점치는 전문가들이 많다. 정부의 정책 스탠스가 경기부양 쪽으로 가닥이 잡히면서, 시장도 그 재료를 발빠르게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금리가 인하되면 원화는 약세로 돌아서고 수출주들이 다시 살아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벌써 나오고 있다.
◆박형중 유진투자증권 연구원 = 한국은행 금통위에서 당장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려우나 이번 달에 금리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 달, 한은 이 가지고 있던 경기에 대한 인식을 수정하기는 했으나 금리인하를 예상할 수 있을 만큼의 언급은 없었다.
그러나 이번 금통위에서 경기전망을 하향 조정하고, 하반기 경기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거두어 들인다면 금리인하 가능성은 그만큼 더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지금의 경기둔화는 세월호 영향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으로 볼 부분도 적지 않다는 점, 올해 성장률이 3% 중후반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기준금리를 인하하기보다는 동결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
그러나 한국의 내수부문 위축이 단기적 현상은 아닐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에 금리인하 필요성은 여전히 높다는 것이 필자의 판단이다. 세월호 영향을 배제하더라도 소비 및 투자가 앞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을 만한 거시적 데이터는 거의 없다. 자산(주식 및 부동산)시장 부진 지속 및 기업 투자위축 장기화로 고용이 위축되면서 가계는 소득 여건 악화에 직면해 있고, 그 결과 최근 3년간 소비성향은 꾸준하게 하락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김성환 부국증권 연구원 = 오늘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인하 보다는 동결이 우세할 것으로 예상한다. 금리인하가 단행될 경우라도 일시적인 주가 반등은 가능하겠지만 2기 경제팀이 본격적인 액션에 돌입하기 전인 만큼 정책 공조가 미흡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만 보기도 힘들다. 결과적으로 지난 8일 최경환 경제부총리 인사 청문회에서 부정적인 경기전망을 인정함에 따라 본격적인 경기부양정책 필요성을 강화시켜준 상황이다. 이에 한은 마저 경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8월 혹은 9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내비칠 경우가 주식시장에 있어 호재성 재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국내증시의 바로미터 격인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이 쇼크 수준에서 발표됐고, 실적에 대한 눈높이는 더욱 낮아졌다. 실적 시즌인 만큼 시장 대응력 강화를 위해 실적에 관심이 모아질 것이나, 실적 결과로 인한 시장 변동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있다. 국내 기업들의 이익 하향조정이 마무리되고 있는 만큼 추후 이익전망에 있어 부정적 변수인 환율 흐름에 집중한 시장 관점이 필요하다.
원·달러 환율 변동성은 당장에 안정되기 보다는 원화강세 기조 속에 일시적으로 1000원 이하 구간에 머물 가능성도 배제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우선적으로 예상과 달리 움직이는 유로화와 달러화가 뚜렷한 방향성이 없는 가운데 달러화가 쉽게 반등하지 못하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그간 불안정했던 외환 수급 및 심리 부담에서 벗어나며 펀더멘털에 기초한 정상적인 흐름에 기인할 것이다. 이에 ECB의 추가적인 경기부양 정책 가능성과 미국 경기 안정화 및 기준금리 인상시점 거론 그리고 2기 경제팀의 환율 경계감을 토대로 원·달러 환율은 완만한 흐름에 놓일 것으로 전망된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