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개 그룹 관료 출신 비중 35%→37% 상승
관료 출신의 60%는 4대 핵심 권력기관 출신
신세계 관료 비중 82% '톱'…유통 등 내수기업 비중 압도적
[아시아경제 박미주 기자]'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관피아'에 대한 사회적 비판여론이 거세지만 대기업 그룹의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 선호도는 되레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또 법원·검찰을 비롯해 국세청·공정거래위원회·감사원 등 기업 경영과 밀접한 4대 핵심 권력기관 출신이 60% 이상을 차지했다.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는 상호출자제한 49개 기업집단 238개 상장사의 사외이사(1분기 보고서 기준) 출신 이력을 조사한 결과 총 750명 중 36.9%인 277명이 관료 출신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전년과 비교해 전체 사외이사 수는 7명 줄었지만, 관료 출신은 268명에서 9명 늘었다.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도 35.4%에서 1.5%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대기업들이 각종 규제 등 공권력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권력기관 출신 관료들을 대거 영입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주주 일가의 독단경영과 전횡을 차단하기 위해 사외이사 제도가 도입됐지만 기업들은 오히려 외풍을 막는 '바람막이'로 악용하고 있는 셈이다.
올 들어 대기업 사외이사는 국세청(관세청)과 감사원 출신이 11명(20%) 이상 늘었다. 4대 권력기관 출신 인사는 165명에서 173명으로 증가했고, 관료 사외이사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1.6%에서 62.5%로 높아졌다. 법조(법원·검찰) 출신 인사가 84명으로 가장 많았고, 세무(국세청·관세청) 50명, 공정위 24명, 감사원 15명 순이었다.
학계와 재계 출신 사외이사는 381명에서 367명으로 14명(4%) 감소했다.
그룹별로는 신세계의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가장 높았다. 7개 상장사 17명의 사외이사 중 무려 82.4%인 14명이 관료 출신 인사였다. 신세계그룹은 신세계, 이마트, 신세계아이앤씨, 신세계푸드 등 전체 상장사의 절반이 넘는 4곳에서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100%를 보였다.
다음으로 사외이사 비중이 높은 곳은 영풍으로 13명 중 9명(69.2%)이 관료 출신 인사였다. 이어 현대산업개발(66.7%), 롯데(65.5%), 동국제강(63.2%), CJ(60.7%) 등이 60% 이상으로 뒤를 이었다.
현대차, 한국타이어, 세아, 삼천리는 관료 출신 사외이사가 딱 절반을 차지했다. 두산(48%), OCI(46.7%), 현대(46.2%), SK(44.8%), 효성(42.9%), 현대중공업(40%), 아모레퍼시픽(40%), 태영(37.5%) 등도 평균치보다 사외이사 비중이 높았다.
반대로 하이트진로, 이랜드, 미래에셋, 대우조선해양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가 한 명도 없었다.
올 들어 사외이사 진출이 더욱 활발해진 국세청·관세청 출신 인사로는 HMC투자증권 임성균(광주지방국세청장), SK네트웍스 허용석(관세청장), LS산전 이병국(서울지방국세청장) 등이 대표적이다. 롯데쇼핑과 KT&G의 사외이사를 겸직 중인 박동열도 대전지방 국세청장 출신이다.
동부제철 원유승, 현대엘리베이터 박의명은 감사원 국장 출신으로 올해 주총에서 사외이사로 선임됐다.
대기업 그룹 사외이사 중에는 검찰총장, 장관 등 고위 관료 인사도 대거 포진해 있다.
두산엔진 정구영(23대 검찰총장) 사외이사를 비롯해 금호산업 김도언(26대), 삼성전자 송광수 사외이사(33대), CJ오쇼핑 김종빈(34대) 등이 역대 검찰총장을 지냈다.
삼성생명보험 박봉흠(기획재정부), 삼성증권 김성진(해양수산부), SK C&C 이환균(국토교통부), SK이노베이션 김영주(산업통상자원부), GS 이귀남(법무부), KT 김종구(법무부), CJ대한통운 이기호(고용노동부), 고려아연 이규용(환경부), 코오롱인더스트리 김성호(보건복지부), 삼천리 곽결호(환경부) 등은 장관직을 거쳤다.
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