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가계소비 둔화세가 심상치 않다. 1분기 중 쓰고 남은 돈, 즉 자금잉여 규모가 전 분기보다 10조원 가까이 늘었다. 소득 증가율이 신통치 않은데도 마른 행주까지 쥐어짰다는 얘기다. 세월호 참사로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된 2분기까지 이런 흐름이 유지될 경우 올해 성장 경로에 큰 변화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이미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내려잡았고, 기획재정부도 곧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수정된 의견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중 자금순환' 잠정치를 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자금조달 규모는 6조6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17조9000억원 급감했다. 자금운용 규모도 31조8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8조2000억원 감소했다. 이에 따라 자금운용에서 조달분을 뺀 자금잉여 규모는 25조3000억원으로 전 분기 15조6000억원과 비교해 10조원 가까이 불어났다.
한은 관계자는 "예금취급기관 차입 규모가 크게 축소된 데다 기타금융기관 차입이 순상환으로 전환되면서 가계 부문의 자금 조달이 대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같은 기간 자금운용도 금융기관 예금은 증가했지만, 채권은 순처분으로 돌아서 규모가 크게 줄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부문별로 가계의 금융기관 차입은 3조3000억원 늘어나 전 분기 25조2000억원의 8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특히 전 분기에 5조2000억원 불어났던 단기차입금은 1분기 중 -2조8000억원까지 감소했다. 장기 차입금 규모도 전 분기 20조원에서 1분기 6조1000억원 수준으로 줄었다. 차입은 대개 예금취급기관(6조2000억원)에서 이뤄졌고 기타금융기관 차입은 1000억원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자금운용 가운데는 보험 및 연금의 규모가 18조원으로 가장 많았고, 금융기관예치금이 17조7000억원이었다. 예치금 중 16조1000억원은 비결제성예금이었고, 저축성예금은 12조8000억원 규모였다. 기타금융기관예치금은 3조3000억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채권 규모는 11조원 감소했고, 전 분기 마이너스를 나타냈던 주식 및 출자지분은 4조2000억원 늘어났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총 금융자산은 전 분기 말 대비 2.3% 증가한 1경2916조원을 기록했다. 채권 비중이 늘고, 주식 및 출자지분 비중은 하락했다.
또 3월 말 현재 국내 비금융부문의 금융자산은 전 분기 말 대비 115조원 증가한 5875조5000억원을 나타냈다. 금융부채는 전 분기 말 대비 86조1000조원 증가한 4196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부문별 금융자산은 비금융법인기업(45조7000억원)에서 가장 크게 늘었고, 가계 및 비영리단체(37조6000억원)와 일반정부(31조70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금융부채는 비금융법인기업(43.0조원), 일반정부(36조6000억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6조5000억원) 모두 증가했다. 3월 말 현재 가계부채 규모는 1024조8000억원이다. 3월 말 현재 국내 비금융부문의 순금융자산(금융자산-부채)은 1679조3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 대비 28조8000억원 증가했다. 비금융부문의 금융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1.40배로 전 분기 말(1.40배)과 같았다. 다만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전 분기 말 2.16배에서 2.18배로 상승했다.
박연미 기자 ch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