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프롤로그]M&A…기업市場'의 재발견

시계아이콘02분 5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거대한 기업 場터', 지금 어떻게 돼가나 한눈에 보십시오…대체 뭐가 문제인가, 본지 매일 기획보도

정부가 꽁꽁 얼어붙어 있던 국내 인수합병(M&A)시장에 봄바람을 불어 넣고 있다.


한계 상황에 직면한 국내 주요 기업들이 M&A 시장에 매물로 쏟아져 나왔으나 좀처럼 매기가 없자, 정부가 나서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등 M&A 시장에 풀무질을 하고 있다.

M&A 시장에 나온 기업 수만 줄잡아 30여개에 달한다. 금액으로는 40조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정부가 M&A 활성화 대책을 마련, 발표한 것은 경제 및 경기침체 악순환을 사전에 막겠다는 확고한 의지다. 부실기업의 양산을 막고, 경쟁력을 갖춘 새로운 주인에게 기업을 맡겨 경제를 활성화시키겠다는 것이다. M&A 시장 참여자들 역시 이번 정부의 활성화 대책의 취지를 이해하고 또 그 결과에 대해 많은 기대감을 표명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지는 11회에 걸쳐 국내 M&A 시장에 나온 알짜기업의 현황을 면밀히 살펴 시장참여자들의 이해를 도울 예정이다. 또 M&A 시장참여자들이 전하는 해당 기업의 장단점 및 업종 현황 등 다양한 목소리도 전달할 계획이다.


넘치는 매물, 입질도 안하는 'M&A의 무덤'
이대로 놔두면 대한민국 경제전체 치명타


[아시아경제 M&A특별취재팀=조영신 차장, 박민규·배경환·김철현·이윤재·이창환·임철영 기자] 지난달 28일 오후 서류 가방을 든 말쑥한 정장 차림의 비즈니스맨들이 하나 둘 짝을 지어 서울 합정동 LIG지주 사옥 3층을 찾았다.


LIG손해보험을 인수할 의향이 있는 매수자 실무진들이다. 이날 오후 5시 예비입찰서 제출 마감 결과 롯데그룹과 KB금융지주, 동양생명, LB인베스트먼트, IMM프라이빗에쿼티. MBK파트너스, H&Q AP코리아, 자베즈파트너즈, 중국 푸싱그룹 등 9곳이 예비입찰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LIG손해보험을 시작으로 올해 국내 M&A 시장이 개화한다. M&A 시장에 큰 장이 활짝 열린 것이다.


금융위기 및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면서 이를 견디지 못한 국내 기업들이 매물로 쏟아져 나와 새 주인을 찾고 있다.


한계 상황을 뛰어넘기 위해 자구안으로 내놓은 기업 수만 줄잡아 30여개에 달한다. 금액으로는 40조원에 달할 만큼 대한민국 기업은 현재 세일 중이다.


매물로 나와 있는 대기업은 팬오션과 동부하이텍, 동부제철(인천공장), 동양매직, 동양시멘트, 동양생명, 현대증권, LIG손해보험, 대우로지스틱스, 쌍용건설, 대한전선, 대우조선해양, 우리은행 등이다.


여기에 공기업 민영화와 기존 부실기업 정리, 사모펀드(PEF) 인수 기업 재매각 등까지 합하면 단군이래 최대 M&A 시장이 형성됐다는 말이 지나치지 않을 정도다.


이처럼 매물은 넘쳐나지만 선뜻 사겠다는 매수자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매수자를 찾고 있는 기업으로서는 속이 타들어가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2분기 기준 국내 10대그룹 82개 상장사의 사내유보금은 477조원에 달하지만 주요 기업들이 나서지 않고 있다. 글로벌 경제 및 내수경기가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판단에 따라 돈 가진 기업들이 보수적인 경영을 펴고 있기 때문이다.


핵심 계열사 또는 캐시카우(Cash Cow) 자산을 매각, 그룹(기업)의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매도자 입장에서 보면 속이 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매각이 지연되면 될수록 기업의 가치가 떨어져 제값을 받을 수 없다. 제값을 못받으면 그룹(기업)은 유동성 함정에서 빠져 나올 수 없다. 이는 개별 그룹 또는 개별 기업을 넘어 한국 경제 전체에 치명적이다.


정부가 지난달 6일 'M&A 활성화 대책'을 발표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사모펀드(PEF)에 대한 규제를 풀고, 대기업의 시장 참여를 독려하는 등의 대책으로 M&A 시장에 풀무질을 하겠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정부는 우선 PEF가 규모를 더 키워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공정거래법상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 지정에 따른 제한을 완화했다. 기존에 PEF는 자금의 규모가 5조원을 넘어서면 대기업집단으로 지정돼 의결권이 제한됐다. MBK파트너스, 보고펀드, 한앤컴퍼니 등의 PEF들이 이번 규제 완화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PEF가 기업의 지분 이외에 사업부문도 인수 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최근 시장에 나온 효성 패키징사업부 등의 매물을 PEF도 인수할 길이 열린 것이다.


이 외에 PEF가 최대주주인 기업의 기업공개(IPO)도 이번에 허용됐다.


정부 관계자는 "그동안 거래소 등에서 PEF 상장이 가로막혀 있어 문의조차 없었던 것이 현실"이라면서 "이번 제도 개선을 통해 PEF가 또 다른 출구를 갖게 된 셈"이라고 말했다.


대기업이 M&A 시장에 진입하는 길도 넓혔다.


원유나 제철원료, 액화가스 등 대량화물의 화주가 구조조정을 추진 중인 해운사를 인수할 수 있도록 명시적으로 허용했다. 매각작업이 답보상태에 빠져있는 STX팬오션과 대우로지스틱스 등의 매각에 대기업 진출의 길을 터준 셈이다.


합병가액에 대한 규제를 완화한 것도 대기업의 시장 참여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기존에는 상장법인을 인수할 때 합병가액이 기준시가의 10%를 넘을 수 없었다. 대기업이 우량 중소기업을 인수할 경우 통상적으로 프리미엄을 지급하는데, 이 프리미엄의 규모가 주가의 10%로 사실상 제한돼 있었던 것이다.


PFF 관계자는 "미국의 경우 M&A 프리미엄으로 주가의 30%를 지급하기도 한다"면서 "규제를 풀면 경쟁력을 가진 중소기업을 대기업이 인수하는 사례가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역삼각합병과 삼각분할, 삼각주식교환제도 등 다양한 M&A 방식을 허용한 것도 대기업의 시장 참여를 독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 2003∼2008년 우리나라의 M&A 시장은 연평균 14.8% 성장해 왔지만 금융위기 여파로 2003∼2013년 10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7.2% 수준에 그쳤다"며 "M&A 활성화 정책으로 오는 2017년에는 M&A 시장이 70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이 같은 M&A 활성화 대책에도 불구하고 시장 일각에선 반신반의 하는 분위기다.


우선 우리나라의 PEF가 블랙스톤, KKR 등과 같은 해외의 사모펀드에 비해 리스크관리 등 운용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 우리나라의 금융환경이 미국이나 영국 등과 비교하면 열악하다는 것도 걸림돌이다. 다양한 금융기법을 사용해 M&A를 추진하는 해외 PEF와 달리 국내 시장은 활용할 수 있는 '툴'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M&A = 기업사냥'이라는 보편적 사회적 인식이 자금의 자유로운 이동을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도 PEF 업계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투자은행(IB) 업계 고위 관계자는 "PEF의 입장에서는 정부규제가 너무 많은 것이 사실"이라면서 "미국의 경우 PEF와 관련 규제 자체가 없다"고 말했다.


기업 매각을 추진중인 재계 관계자는 "올해 40조원에 달하는 기업 채권이 만기도래한다"며 "매물로 나온 기업들이 주인을 찾아 한계상황에서 벗어나는 것이 그 어떤 것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정부의 M&A 활성화 대책이 실효를 꼭 거둬야만 하는 이유다.




M&A특별취재팀=조영신 차장, 박민규·배경환·김철현·이윤재·이창환·임철영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