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일문일답]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기자회견

시계아이콘03분 4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장준우 기자, 손선희 기자]새정치민주연합이 26일 공식 출범했다. 이날 서울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열린 중앙당 창당대회에서 새정치연합은 공동대표로 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안철수 의원을 선임했다.


다음은 기자들과의 일문일답.

-초반 통합에 대한 기대에 비해 지지율도 주춤한데, 앞으로 지도부 구성 어떻게 할지, 당직 배분 어떻게 할 것인가?


▲김한길(김)=당헌을 소개해드린대로 양 공동대표가 동수로 구성된 최고위 지도부 구성하기로 돼 있다. 저 같은 경우 최고위원들을 다시 지명하는 것이고 안 대표는 별도로 위원을 지명할 것이다.

▲안철수(안)=단기간 지지율에 일희일비하진 않는다. 아주 엄중하게 받아들이곤 있다. 따라서 창당이 마무리된 만큼 실제 국민들 기대만큼 결과와 성과를 내고 직접 보여드리는 게 순서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저희 지도부도 곧 구성돼서 소개할 예정이다.


-창당 이후 기초선거 무공천 논란이 본격화될 전망인데. 이에 대한 입장은?


▲김= 오늘 우리 두 사람 연설에 우리 입장은 다 들어있다. 그리고 이런 논의가 확산될지 모른다고 말했는데, 이런 논의가 현 집권세력에게 약속을 지켜야 된다는 소리로 더 커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안= 저도 같은 맥락이다. 단기간 이익을 위해 국민과의 약속 헌신짝처럼 저버리는 세력과 이렇게 힘든 상황임에도 불구 약속 지키려 노력하는 세력을 두고 국민은 항상 심판 하리라 생각한다. 또 이런 것들 대해 여러 가지로 나름대로 당원들과 대화하며 어려움들을 알고 있다. 아마 현재 여러 가지 과정 속에서 일반 국민들 잘 모르셨다가 정말 기초공천 하지않는 것이 저렇게 큰 어려움에 봉착하는거구나 느끼시는 기회가 됐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 약속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데 대해 국민들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


▲김= 제가 늘 수없이 한 말이지만 이런 결단은 많은 고통을 요구받지만 기꺼이 감내해야한다 생각한다. 민주당의 기초지방선거 무공천 선택은 새정치연합과의 통합을 전제로 내려진 결정이 아니다. 양 세력의 통합과는 무관하게 그 이전에 민주당의 최고위원들이 각자가 여러 분의 의견 수립한 다음 고민 끝에 내린 결정 내려서 하나의 결론으로 내린 것이다.


-김 대표에게 묻는다. 5·4 전당대회 이후 동작동 현충원 방문했다. 당시 김대중 묘를 참배했는데, 신당 창당 후 현충원 방문계획이 있는가? 있다면 박정희 묘도 참배하는가?


▲김= 아직은 없다. 계획 잡으면 어떻게 할 것인지 의논해 보겠다.


-안 대표에게 묻는다. 기존 새정치연합 공동위원장 중 윤여준 등 일부가 불참을 밝혔다. 도로 민주당이란 비판이 있는데?


▲안= 저 포함 모두 9명이 지금 현재 구성돼 있다. 그래서 아마 오늘 중으로 어떤 분인지 소개시켜드릴 수 있을 것.


-안 대표에게 묻는다. 친노배제론을 앞으로 어떻게 할것인가.
▲안= 특정 분들을 배제한다거나 이런 경우는 전혀 생각하지도 않았다. 그런 적도 없다. 지금 현재 우리 앞에 주어진 건 외부의 큰 적이다. 그리고 국민과 약속 지키지 않고 눈 앞에 있는 조그만 이익 탐하는 세력은 이번 기회에 국민께서 심판하실 것이다. 거기에 모든 단합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김 대표, 지지율 올리기 위해 앞으로 지방선거에 총력 다 할거라고 했는데 어떤 계획인가.


▲김= 열심히 하겠습니다. 그리고 지방선거 준비하기 위한 선대위 등 구성 빨리하려한다. 오늘 두 세력이 합쳐진 것이니까 새로 구성되는 지도부에 대해 빨리 의논해서 결론을 내겠다.


-안 대표, 대표 수락연설 하면서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비판할 것은 비판하고 싸울 건 강력히 싸우겠다고 했는데, 국정원 증거조작과 대선개입 관련 사안들과 관련해 검찰이 지금 축소조사 은폐한다는 의혹이 있다. 특검을 요구하거나 남재준 해임안 낼 생각이 있는지?


▲안= 국정원과 관련해서 여러번에 걸쳐 입장을 밝혔다. 독자적으로 활동할 때도 특검을 강력히 주장한 바 있다. 그 생각은 전혀 변하지 않았다. 민생과 민주주의를 위해서는 치열하게 싸우겠다. 그리고 정치가 국민을 두려워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약속 지키지 않고도 아무런 사과 없이 저렇게 기초공천 포함 밀고나가는 건 정치가 국민 두려워하지 않기 때문이다. 국민이 여기에 엄중히 경고해주지 않으면 계속 두려워 않을 것이다. 국민이 현명한 판단 해주길 바라고 저희도 야당으로서 최선의 역할 다할 것이다.


-김 대표, 세모녀 사건 재발방지법을 새정치민주연합 첫 법안으로 낼 거란 보도가 있는데?


▲김= 새정치민주연합은 소위 민주주의의 문제, 국정원 불법대선개입, 간첩조작사건에 대해 민주당보다 좀 태도가 덜 강한 것이 아니냐고 말씀들 하시지만, 사실 두 사건 대한 양측 입장이 다르지 않다. 특검을 요구하고 국정원 책임자 문책하라는 요구도 같다. 다만 민생을 하도 얘기하니까 혹시 그쪽을 등한시 하는 게 아니냐 하는 우려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사이에 그런 차이는 극히 적다. 세모녀 자살사건 이후 복지사각지대 해소 관련법이 검토되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새 지도부가 구성돼야 1,2,3호 법안을 어느 것으로 할 건지 논의할 수 있다. 지금 답변하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다. 검토되고 있는 건 사실이다.


-안 대표, 고용친화적 경제성장정책 내세웠는데, 그게 혁신경제와 어떤 맥락에서 추진될 것인가


▲안= 세계적으로도 많은 곳에서 발표 되듯이, 심각한 소득 불평등, 격차가 경제발전을 저해한다는 게 널리 알려져 있다. 지난 대선 때 부터 제가 주장했던 것이 거기에 기반한 두바퀴 경제론 주창했다. 즉, 지금 현재 심각한, 그리고 경제적으로 정의롭지 못한 분배구조가 우리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이 해소되면, 경제정의가 구현된다면 그건 우리나라 제2의 성장동력이 된다는 믿음이 있다. 현재 소득불평등, 복지 부분들을 잘 받쳐준다면 그걸 통해 혁신적 아이디어들이 실패를 두려워않고 나올 수 있게 되고, 그게 다시 튼튼한 경제성장의 기반이 되고, 복지 쪽에 많은 재원 공급 해줄 수 있다는 두바 퀴 경제론 주창했고 지금도 변함없다.


-김 대표, 새정치민주연합이 출범하면서 상징동물을 혹시 선발할 계획이 있나. 미국은 상징동물 통해 어린 시절부터 민주주의 교육을 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떤 의향을 갖고 있나.


▲김= 아직 상징동물까지는 생각해보지 않았다. 그것도 좋은 생각 같다.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특정 정당에 관심 갖게 만드는 매개가 될 수 있겠다. 당에 가서 논의해보겠다.


-경선룰과 관련, 기존 당원경선과 국민참여경선 외에도 국민경선 포함됐는데, 최소한 경기도만이라도 국민경선 갈 가능성 있는지?


▲김= 어쨌든 새 지도부가 구성돼야 그런 논의 할 수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아직 창당 이전이었기에 당원 수가 민주당에 비해 적다. 그래서 민주당의 당원중심 경선으로 갈 때 불이익 받는 지역 있을 수 있다는 문제 때문에 국민경선이 포함됐다. 지금은 거기까지만 말씀 드릴 수 있을 것이다.


-한·미·일 3자정상회담이 있었다. 정상회담 계기로 북한 문제에 대해 공조 강화한 것으로 해서되는데, 한미일 회담 대한 평가와 해석은?


▲안= 지금까지 한·일 관계가 시작하질 못했는데, 이번 계기로 해서 어느 정도 시작할 수 있는 초기단계에 접어든 것 같다. 그렇지만 현재 정부에서도 마찬가지고 국민도 생각하는 것처럼 과거사에 대한 솔직한 인정들이 없으면 더 이상 지금 상태보다 더 진전되기는 어렵다는 원칙을 계속 지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 국제관계가 역동적으로 바뀌고 있다. 동북아 뿐 아니라 우크라이나 사태 때문에 그 자체가 우리나라 동북아 균형에 여러 영향 미칠 것으로 본다. 지금이야말로 전략적으로 원칙 세우고 잘 접근해야 되는데 한 가지 걱정이 있다. 제가 동북아 특위 소속인데 외교부 분들을 거기에 불러서 여러 가지 질의 해봤지만 예전 일본 자위권 대해서도 원칙 없다는 것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젠 엄중한 시기에 제대로 된 원칙 세우고 여러 국가 간 관계 수립해야할 중요한 시기라고 본다.


▲김= 일본과의 관계는 과거사에 대한 일본 정부의 분명한 입장을 촉구하는 것이 좋다. 동북아 정세를 맞닥뜨리면서 일본 집단자위권 등 우경화에 대해 우리정부가 분명한 입장을 말하지 않는 것은 잘못됐다고 생각한다.




장준우 기자 sowhat@asiae.co.kr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