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 '인구 1000만 도시' 자존심 꺾인 이유는?

시계아이콘01분 3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저출산, 전셋값 상승, 공공기관 이전, 제조업 탈출 등으로 25년 만에 인구 1000만명 이하로 감소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서울의 인구가 전셋값 상승, 공공기관 지방 이전, 제조업의 서울 탈출 현상 등으로 지속적으로 줄어들면서 1000만명 시대를 마감했다.


10일 서울시와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1월 말 현재 서울의 주민등록인구는 1014만3164명이지만 거주불명등록자 15만3157명을 빼면 실제 거주자는 999만7명으로 1000만명을 밑도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의 실거주자 수가 1000만명 이하로 내려간 건 1988년 이후 25년 만이다. 서울의 인구(주민등록기준)는 1992년 1093만5230명으로 정점을 찍고 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거주불명 등록자란 주민등록 전입신고를 한 뒤 실제로 그곳에 살지 않는데도 신고를 하지 않고 이탈한 걸 일컫는다. 사망 또는 실종신고가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일단 거주하는 것으로 보고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낼 때 거주자 수에 더해 계산한다.


반면 서울시와 달리 경기도 인구는 증가하고 있다. 지난 1월 말 현재 경기도의 주민등록 인구는 1224만5960명으로 서울시보다 210만2796명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도 인구는 작년 7월 처음으로 서울시와의 격차를 200만명 이상으로 늘렸다. 경기도 인구는 2003년 말 1020만6851명으로 1000만명 시대를 열면서 서울시를 추월한 후 계속 격차를 벌려 왔다.

이처럼 서울의 인구가 줄고 경기도의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이유로는 우선 최근 극심한 전셋값 상승 등 집값 때문으로 집계되고 있다. 서울의 전셋값이 비싸 경기도로 이주하는 '전세난민'들이 늘면서 서울의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2013년 1월부터 11월까지 전국에서 경기도로 이동한 인구는 171만3654명인데 이중 서울에서 경기도로 옮겨간 인구는 30만5970명을 차지했다. 수도권으로 옮겨간 인구 중 17%가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했다.


또 지난해 발표된 통계청의 2013년 국내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작년 서울 인구는 10만550명 순유출됐다. 2010년 11만5023명 순유출된 이후 4년 연속 10만명대 순유출이다. 서울 인구는 지난 1990년 이후 계속해서 순유출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서울을 떠난 10만명의 전출사유를 보면 총 4만9200명이 주택문제를 꼽았다. 상대적으로 주택가격이 싼 곳으로 이주했다는 의미다. 결혼 등 가족 문제로 이주한 경우도 3만9100명으로 집계됐다.


전국 꼴찌 수준인 출산율도 인구 감소에 한 몫하고 있다. 2012년 말 현재 서울 총 출생아 수는 9만4000명으로 1982년 19만8000명 대비 10만4000명이나 감소했다. 20년 전인 1992년(18만3000명)에 비해서도 8만9000명이 줄었다. 1982년에는 하루 평균 543명이 태어났으나, 2012년에는 하루 평균 불과 257명이 출생하고 있다.


이와 함께 10여개 정부 부처가 지난해부터 세종시로 이전하는 등 수도권 과밀화 해소 정책의 효과도 수도권 인구를 줄이고 있다. 정부가 꾸준히 추진하고 있는 공공기관 이전 정책에 따라 2013년말 현재 150개 이전대상 공공기관중 35개 기관이 지방으로 이전했으며 올해에는 한국전력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관광공사 등 75개 기관이 혁신도시와 세종시로 이전할 예정이다.


수도권 규제 등에 따라 제조업 공장들이 서울을 탈출하는 등 경제 여건의 변화도 인구를 줄였다. LG경제연구원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 제조업의 고용이 10년새 대폭 줄어들었다. 수도권의 고용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52%에서 지난해 44%까지 낮아졌다. 취업자 수는 220만명에서 195만명으로 감소했다. 특히 서울의 제조업 취업자 수는 2000년 89만명에서 지난해 51만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인구과밀에 따른 용지부족,지가상승, 수도권과밀화해소 정책 등에 따른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