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부산항 북항에서는 재래부두를 국제해양 관광거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공사가 한창이다. 부산항 북항 재개발은 부산광역시 중구ㆍ동구 연안과 국제여객부두를 아우르는 152만7247㎡(약 46만2000평)면적에서 이뤄지는 대규모 사업이다.
부산항만공사가 발주한 여객터미널은 현대건설이, 부산지방해양항만청이 발주한 여객부두는 대우건설이 맡아 공사를 수행중이다. 복합항만지구에는 크루즈 터미널을 포함한 국제여객터미널이 조성되며 이 지구는 전체 계획 중 최우선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정부와 부산시, 제주도 등 지자체가 크루즈산업 활성화에 발벗고 나선 것은 '21세기 최고의 관광산업'이 세계적으로 연평균 10% 이상 빠르게 성장하는 등 경제적 잠재력이 크다고 판단해서다. 박근혜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인 일자리 창출 효과도 높다.
부산항만공사에 따르면 3만t급 국적 크루즈선 1척을 건조하는데 따른 경제효과는 902억원이며 고용창출 효과는 968명에 달한다. 14만t급 크루즈선이라면 아파트 1200가구 건설과 맞먹는 기자재가 소요돼 산업의 전후방 효과가 높다. 더욱이 운용단계에 이르면 관광객 방문으로 인한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만만찮다. 해양수산부는 2015년까지 연간 100만명의 크루즈 관광객이 국내를 방문, 직접소비 규모가 5000억원에 달하고 간접효과까지 포함하면 1조원 이상의 경제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0년까지 연간 200만명의 국내외 크루즈 관광객 이용과 모항 육성, 국적 크루즈 운항으로 연간 5조원 수준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 등지에서는 크루즈산업이 과열되며 대대적 할인공세에 나서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도입 초기단계여서 성장 잠재력이 풍부하다는 얘기다. 실제로 동북아시아 크루즈 시장이 확대되면서 국내서도 최근 5년간 기항(배가 항해 중에 목적지가 아닌 항구에 잠시 들름) 횟수는 약 4배가 늘었고, 관광객 수는 7배 이상 증가했다. 하지만 크루즈선 정박을 위한 크루즈 전용부두 등 인프라가 현저하게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크루즈 관광객들이 몰리는 부산ㆍ제주ㆍ여수항은 각 1개 선석(8만t급)을 제외하고 전용 부두가 없어 크루즈선이 화물부두에 정박하기도 한다. 화물부두 이용에 따른 승객 안전과 환승 문제, 항만 이미지 저하로 경쟁국가인 중국(상하이ㆍ홍콩ㆍ텐진) 싱가포르 일본 등에 비해 한국항을 기피하는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정부가 크루즈 부두 확장사업에 서둘러 나선 배경이다. 이같은 움직임에 일감 기근에 시달려온 건설사들은 반색하고 있다.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관련 예산이 축소돼가는 마당에 일시적이나 대안이 될 수 있어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크루즈산업 활성화에 대비해 관련 인프라 건설이 확대되고 있고 해외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이 나타나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 참여도 적극 모색 중"이라며 "해외에서는 텃세가 심한 중국보다 동남아시아 국가를 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