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경제혁신과 '재신임 경제팀'의 리더십

시계아이콘01분 00초 소요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 이후 정부가 바빠졌다. 이런저런 회의와 구호가 많아졌다. 집권 초기에도 있었던 현상이다. 창조경제를 비롯 중소기업 중심 경제, 경제민주화, 국민행복시대, 중산층 복원, 고용률 70% 달성 등 구호가 난무했다. 그러나 지난 1년을 돌아보면 회의와 대책들만 쏟아졌지 성과를 본 것은 찾아보기 힘들다. 모여서 다짐하고 구호만 외칠 게 아니라 절실한 몇 가지를 잡아 확실하게 실천할 때다.


대통령은 신년 구상의 3분의 2를 경제에 할애했다. 그만큼 경제 살리기가 급하다고 여겼기 때문일 것이다. 핵심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다. 3년 후 2017년에 이루겠다는 '474(성장률 4%, 고용률 70%, 국민소득 4만달러)' 청사진도 제시했다. 비정상적 관행의 정상화, 창조경제, 내수 활성화를 3대 추진 전략으로 삼아 2월 말까지 실행계획을 내놓기로 했다.

'474'도 그렇지만 3대 추진 전략도 어느 것 하나 쉬운 일이 아니다. 비정상적 관행을 뜯어고치는 공공개혁이나 내수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산업 육성과 규제개혁은 역대 정부가 모두 추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이익단체와 관료 등 기득권 집단의 반발이 거세고 국회 입법 과정에서 좌초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경제체질을 바꿔 창조경제로 나아가겠다지만 정부 출범 1년이 돼 가도록 창조경제에 대한 개념조차 명확히 잡히지 않았다.


더구나 이런 작업을 진두지휘할 경제팀의 실상은 어떤가.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해 여당에서부터 경제팀을 중심으로 한 개각론이 제기될 정도다. 철도파업 사태에서 보듯 현안 조정 능력도 부족하다. 박근혜정부 경제정책의 상징인 창조경제를 이끌어야 할 미래창조과학부는 잘 보이지도 않는다.

현오석 경제팀은 대통령의 재신임을 계기로 심기일전해야 한다. 그동안 해온 것처럼 미지근해선 경제혁신은커녕 부작용과 잡음으로 혼선을 키울 수 있다. 우선순위를 정해 추진 일정과 실행계획을 정교하게 짜야 할 것이다. 기존 정책이나 서랍 속 계획을 다시 꺼내 짜깁기하는 식으론 통하지 않는다. 경제혁신 계획은 추진하는 것 못지않게 야당과 국민을 상대로 토론하고 설득해 협조를 이끌어내는 것도 중요하다. 연초부터 닥친 원고엔저 충격 등 대외여건은 '474'로 가는 길이 쉽지 않으리라 말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