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뷰앤비전]'한류'의 진화를 위한 전제조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1초

[뷰앤비전]'한류'의 진화를 위한 전제조건 한무영 서울대 교수
AD

한류로 인하여 한국이 전 세계에 많이 알려지고 있다. 몇 년 전 이란에 출장갔다 들른 어느 시골마을의 식당에서의 일이다. 한국에서 왔다고 하니, 주방장이 반갑게 자신의 휴대폰에 있는 대장금 차림의 이영애씨의 사진을 보여준다. 이란에서는 어린이용 대장금도 TV에 방영이 되어 어린이들도 다 안다. 외국의 오지에서조차 한류만큼 좋은 선전수단은 없다.


가수 싸이의 덕도 본다. 외국에서 논문을 발표할 때 첫 번째 슬라이드에 싸이의 사진을 올려놓고 한바탕 웃으면 금세 분위기가 좋아진다. 최근에 만난 미국의 지도교수의 손자도 싸이의 말춤을 춘다고 하면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아마도 이러한 효과 때문에 우리나라가 많이 알려짐에 따라 덩달아 우리나라 제품들도 잘 팔릴 것이다.

이렇게 외국인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하는 한류를 진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것은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주는 한류로 가는 것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홍수와 가뭄, 그리고 물부족으로 고통을 겪고 있으며 앞으로 기후변화에 의해 그러한 피해는 점점 더 커질 것이다. 특히 아프리카나 아시아의 오지에서는 그러한 문제들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을 만들어준다면 가장 비용 대비 효과가 클 것이다. 그것은 바로 우리의 빗물관리 기술이다. 우리나라는 여름에 강수량이 집중이 되고 국토의 많은 부분이 산지로 되어 있어서 물관리가 매우 어렵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름 홍수와 봄 가뭄을 수천년 넘게 극복하면서 삼천리 금수강산을 유지해 왔다. 그러한 철학적, 기술적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조선시대엔 이런 일이 있었다. 빗물 때문에 고생하는 백성을 위하는 민본사상에 의거하여 빗물관리를 체계적으로 하고자 1441년 세종대왕 때 측우기를 발명했다. 그 다음해인 1442년 전국 334개소에 보내어 그때부터 강우기록을 유지하여 왔다. 그래서 온라인으로도 조선왕조실록을 검색해 보면 1770년부터 현재까지 강우기록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의 독립(1776년), 프랑스 대혁명(1789년)보다 먼저 이런 과학적 통계치가 축적되기 시작한 셈이다.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의 장기예측을 위해서는 정확한 강우기록이 반드시 필요한데 240년 이상의 정확한 강우기록을 가진 나라는 전 세계에 우리나라밖에 없다. 빗물관리의 세계 챔피언인 것이다.


이런 빗물관리 기술을 활용하면 아프리카나 아시아 등 여러 나라 사람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주고 대한민국을 빛내주는 또 하나의 한류가 될 수 있다. 빗물관리의 배경이 된 민본사상과 강우기록은 선진국이 생각도 못한 일이다. 가장 먼저 빗물모으기로 먹는 물을 해결해 줄 수 있다. 탄자니아의 빗물시범 사례에서 보면 주민들이 가장 절실하게 필요한 것은 안전하고 깨끗한 물이다. 자신의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을 받아서 스스로 먹는 물을 확보하도록 빗물시스템을 가르쳐 주면서 일부의 초기비용을 지원해주는 식이다.


앞으로 일사일통(一社一桶, One company, one community Raintank Donation)이란 캠페인을 해보면 어떨까 싶다. 한 회사나 기관에서 어느 한 지역사회(학교, 공회당, 마을, 부락 등)를 연결하여 빗물시설 비용의 일부를 제공해주면서 스스로 만들도록 가르쳐주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지역주민들은 비용도 적게 들고 주인의식을 가지면서 스스로 관리할 수 있다. 그 빗물탱크에 회사의 로고를 붙여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다. 회사 직원이나 자녀들을 참여시키면 국제적인 감각을 익히는 데도 도움이 된다. 모두가 윈-윈 하는 모두가 행복한 물관리가 가능해지는 셈이다. 생명과 재산을 지켜주는 꺼지지 않는 새로운 한류, 먼 곳에 있지 않다.




한무영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