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6일만에 끝난 경기도 문화시설 입장료인상 '해프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수원=이영규 기자]"아니면 말고"


경기도가 재정난 타개를 위해 검토해 온 경기문화재단 산하 박물관, 미술관, 어린이박물관 등의 입장료 조정을 당분간 검토하지 않기로 했다. 지난 10일 경기문화재단이 박수영 도 행정1부지사에게 내년 재정난 타개를 위해 입장료 조정과 인상안을 보고한 지 6일만의 잠정 유보다.

당시 문화재단은 박 부지사 주재로 열린 실국장회의에서 박물관ㆍ미술관 등 도립 문화시설의 입장료 조정을 통해 내년 자체 수익금을 20억원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수익금 17억원보다 3억원이 증가한 것이다.


또 박물관ㆍ미술관 등 도립 문화시설의 주차장 유료화를 확대하고, 편의시설 운영방식 개선 등을 통해 2억원 이상 수익을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문화재단은 이럴 경우 내년 총 자체 수익금이 34억5000만원으로 올해보다 5억원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보고했다.

이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도민들은 즉각 반발했다. 도와 문화재단이 재정난 타개 일환으로 도립 문화시설의 입장료 조정을 통해 서민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문화재단이 도민들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노력은 게을리한 채 손쉬운 입장료 조정에만 매달리고 있다는 지적이 쇄도했다.

상황이 이렇자 도는 16일 문화정책과 명의의 '설명자료'를 통해 "경기도와 공공기관은 당분간 도립 박물관과 미술관의 입장료를 인상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또 "입장료 인상안은 경기문화재단에서 내놓은 다양한 자구책 가운데 하나의 의견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경기도는 입장료 인상이 도민의 문화예술 향유기회 축소 등의 부작용을 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며 "도립 문화시설의 인상료 인상 등과 같은 중대 사안은 반드시 도민 및 이용객 등의 의견 수렴을 거쳐 조정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강조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재정난을 이유로 손쉬운 입장료 조정 등을 통해 적자를 보전하는 것은 도민의 세금으로 건립된 도립 문화체육시설이 할 일이 아니다"며 "재정이 어려울수록 보다 나은 문화상품 콘텐츠 개발 등을 통해 도민들이 더 많이 찾아올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충고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