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박원순式' 서울 도시계획 퍼즐, 모두 맞춰졌다(종합)

시계아이콘01분 3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뉴타운 출구전략부터 洞단위 생활권 계획까지…‘2030 서울플랜’ 구축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이 취임 후 2년 만에 주택정책 종합판이라 불리는 ‘2030 서울플랜’을 내놨다. 20년 넘게 유지했던 ‘1도심·5부도심·11지역중심’ 체계를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으로 재편한 게 골자다. 특히 1990년 후 도심급 중심지로 성장한 강남과 영등포, 여의도를 도심으로 격상, ‘광역중심’이라는 새로운 단위로 묶은 점도 눈에 띈다.

'박원순式' 서울 도시계획 퍼즐, 모두 맞춰졌다(종합) 박원순 서울시장이 26일 발표한 ‘2030 서울플랜’은 취임 후 박 시장이 내놓은 주택정책의 종합판이라 불릴 만 하다. 박 시장은 ‘2030 서울플랜’ 역시 시민 위주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AD

26일 서울시가 내놓은 ‘2030 서울플랜’은 박 시장이 취임 후 발표했던 정책들과 궤를 같이한다. 과거 정부를 비롯해 전임 시장들이 도시계획의 큰 틀을 짜 놓은 뒤 세부안 마련에 들어갔다면 박 시장은 사안별로 대안을 만든 후 큰 그림을 맞추는 방식을 취했다.


기존 1개 도심을 3곳으로 분산한 ‘2030 서울플랜’은 앞서 발표한 ‘소규모 정비안’과 ‘최소 단위 생활밀착형 개발’의 확장판이라 할 수 있다. 전문가, 시민, 시의원, 공무원 등 108명으로 구성된 ‘서울플랜수립추진위원회’가 직접 만든 계획안이다.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을 줄곧 강조해 온 박 시장의 주택철학과 일맥상통한다.

공간계획 중심의 기본계획이 아닌 ‘생활’ 위주로 권역을 나눈 점도 마찬가지다. 권역별 특성에 맞춰 ▲복지·교육·여성 ▲산업·일자리 ▲역사·문화·경관 ▲환경·에너지·안전 ▲도시공간·교통·정비 등 5대 핵심이슈를 부여한 것 역시 앞서 발표된 ‘맞춤형 정비방식’의 연장선이라 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도심을 보좌하는 역할을 맡던 부도심 5곳 중 영등포와 강남을 도심으로 끌어올리고 마곡과 상암 등 서울시가 역점적으로 개발을 추진 중인 사업지를 ‘광역’으로 묶었다. 과도한 집중을 막고 분산을 하려는 의도에서다. 이제원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영등포나 여의도는 기능은 물론이고 규모도 확대돼야 할 필요성이 있다”며 “규모의 문제, 기능의 문제, 그와 관련된 인프라가 처한 상황에 맞게 바뀔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원순式' 서울 도시계획 퍼즐, 모두 맞춰졌다(종합)


동북권, 도심권, 서북권, 서남권, 동남권 등으로 나뉜 5대 권역은 140개 지역생활권계획으로 세분화했다. 전면철거식 개발의 대안인 주거환경관리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마련한 틀이다. 해당 생활권계획은 이미 권역별로 용역에 들어간 상태로 2016년까지 최종적으로 마무리된다.


특히 박 시장은 권역별 도시계획을 상향식으로 수립도록 했다. 일반 주민들이 계획 수립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게다가 단계마다 주민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총 140개 구역으로 세밀하게 나눈 도시계획은 만 3년 이상 걸려 만들어지는 ‘2030 서울플랜’의 기초 단위로 활용될 전망이다.


이 밖에 교통축과 녹지축이라는 공간개념을 도입했다. 교통축의 경우 지난 7월 서울시가 발표한 도시철도 신설안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대도시권 차원의 지역 간 소통 및 상생발전을 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당시 서울시는 수도권 서북권과 동남권의 연계를 위해 신분당선을 도심을 경유해 고양시 삼송까지 연장하겠다고 나선 바 있다. 녹지축은 기존 남북 녹지축과 외곽의 환상 녹지축을 활용한 것으로 서울성곽과 연계한 녹지 문화축이 형성된다.


박 시장은 “지금까지의 공간계획 중심 도시기본계획이 시민 삶과 직결되는 핵심이슈 중심의 전략계획으로 형식이 변화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광범위한 토론과 논의 과정을 거쳐 서울플랜이 위대한 도시로 서울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미래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