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30서울플랜]서울시, 140곳으로 잘게 세분해 개발·관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서울시가 2016년까지 시 전역을 140개로 세분화해 도시관리에 나선다. 현재 5개 권역을 2~3개 행정동 단위의 소생활권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특히 주민들이 참여해 지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상향식 도시계획’을 만들기로 했다.


26일 서울시가 내놓은 ‘2030 서울플랜’을 살펴보면 서울의 5대 권역별 발전방향과 계획과제를 권역별구상으로 제시한 생활권계획이 2016년까지 마련된다. 생활권계획은 도시기본계획을 정교하게 다듬고 실현성을 높이는 세부 계획이다. ‘도시계획헌장→도시기본계획→생활권계획→도시관리계획’으로 이어지는 도시계획틀의 마무리 단계이기도 하다. 특히 이번 방안은 지난 4월 발표한 ‘100년 도시계획’을 바탕으로 수립된다.

향후 생활권계획이 수립되면 정교한 도시 관리를 할 수 있고 주민들은 자신이 사는 동네의 미래 모습과 발전방향을 가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 서울시의 설명이다. 기존 도시계획체계는 인구 10만명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현재 도시계획에 적용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 사업자들은 지역별 도시계획 방향을 예측할 수 있어 사업의 불확실성이 제거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생활권계획 수립과정은 기존의 용역설계 방식이 아닌 상향식으로 진행된다. 일반주민들이 계획 수립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에 참여한다. 서울시는 이번 생활권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시민참여단과 주민참여단을 꾸린다.

특히 서울시는 단계마다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을 내놨다. 총 140개 구역으로 세밀하게 나눈 도시계획은 만 3년 이상 걸려 만들어지는 종합판이 될 전망이다.


해당 용역은 1·2차로 나눠 진행된다. 2013년 10월부터 2015년 2월까지는 대생활권과 시범지역을 중심으로 조사를 하고 2015년 3월부터 2016년 12월까지는 지역을 쪼개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 결과를 토대로 이르면 2017년 서울시 도시계획헌장의 가이드라인이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람 중심의 도시계획 기본안을 갖추는 게 이번 용역의 핵심”이라며 “앞으로는 모든 개발 과정에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기본 시스템이 갖춰질 것”이라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