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마약단속국도 개인 통화기록 열람 논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미국 국가안보국(NSA)에 이어 미국 마약단속국(DEA)도 막대한 분량의 개인정보를 수집해온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DEA가 NSA를 능가하는 수준의 개인정보 수집활동을 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뉴욕타임스 등 미 주요 미디어가 2일(현지시간) 일제 보도했다. DEA는 수십 억 건의 민간인 개인 통화 기록 정보를 얻기 위해 미국 대형 이동통신사 AT&T에 지난 막대한 비용을 지불한 것으로 알려졌다.

DEA는 최근 6년간 AT&T의 도움을 받아 1987년 이후 26년치에 해당하는 통화 기록을 열람한 것으로 드러났다.


'헤미스피어 프로젝트'라는 이름이 붙은 마약단속국의 정보 수집 활동은 연방정부와 주정부는 물론 AT&T측의 협조로 마약 단속 활동의 일환으로 전개됐다. 특히 AT&T는 정부로부터 일정 보수를 받고 자사 직원들을 전국 마약단속국 수사반에 파견했다.

DEA의 정보 수집 규모는 중앙정보국(CIA) 전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의 폭로로 실체가 드러난 NSA의 정보 수집 규모를 훨씬 뛰어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NSA의 정보 수집 활동인 '프리즘 프로젝트'가 최근 5년간 개인의 통화기록 등을 열람해온 것에 감안했을 때 헤미스피어 프로젝트의 정보 수집 규모는 미 역사상 최대규모인 셈이다.


DEA의 개인정보 수집 활동은 최근 외부에 공개된 마약단속국의 헤미스피어 프로젝트 교육자료를 통해 확인됐다. 이 자료는 반전 평화운동가 드류 헨드릭스가 미국 정부를 상대로 정보공개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입수됐다. 자료에 따르면 DEA는 2007년부터 비밀리에 헤미스피어 프로젝트에 착수해 하루 평균 40억통에 달하는 통화기록을 차곡차곡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해왔다.


이에 대해 오바마 행정부는 헤미스피어 프로젝트가 광범위한 개인정보를 수집해온 사실을 시인했다. 아울러 AT&T 직원들이 정부의 마약단속 활동에 투입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는 점도 시인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