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0大그룹, 靑 오찬에 통큰 화답…'창조경제 37兆 투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경제 5단체장, 산업부 장관과 '산업체질강화위원회'서 10대 그룹 창조경제 투자로드맵 제시

현 정부 출범 후 첫 창조경제 관련 구체적 투자규모 적시
윤상직 장관 "창조경제 씨 뿌리고 결실 맺을 주역 결국 기업" 화답


[아시아경제 임선태 기자]10대 그룹이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정책 모토인 '창조경제'에 대한 투자 규모를 확정 지었다. 지난달 28일 박 대통령의 오찬 초대에 대한 재계 화답의 성격으로, 창조경제에 대한 구체적 투자 로드맵이 발표된 건 현 정부 출범 후 이번이 처음이다.

대한상공회의소·전국경제인연합회·한국무역협회·중소기업중앙회·한국경영자총협회 등 경제 5단체는 2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2차 산업체질강화위원회'에서 "정부의 창조경제 구현 전략에 적극 공감하며 10대 그룹을 중심으로 37조원대의 투자가 착수 중이거나 착수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투자 발표는 전경련이 최근 10대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를 종합한 내용이다. 10대 그룹의 창조경제 관련 투자 내역은 ▲신사업 창출 35조3533억원 ▲벤처 투자 1조6732억원 ▲인재 양성 1만5199명 등이다.

이승철 전경련 부회장은 10대 그룹 창조경제 투자 규모 발표와 함께 "경제계는 향후에도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정부와 적극 협력해 고착화된 우리 경제의 저성장 구도 탈피에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사업창출 금액에는 구체적으로 신규사업(미래성장산업), 융·복합을 통한 신규 아이템 개발, 주력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가 포함됐다. 시설 투자, R&D 투자, 자본·지분 투자 금액은 각각 7조7391억원, 26조2691억원, 1조3451억원으로 분류됐다.


대표적인 신사업 창출 프로젝트로는 각 기업별로 바이오산업, 전기차 주요부품 개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자동차 전지 및 전력저장 전지, 석탄합성천연가스 생산플랜트 건설, 의료용 로봇 개발, 스마트십(Smart ship) 사업, 바이오매스 발전소, 무인기 개발 등이 꼽혔다.


벤처투자는 사내벤처·벤처기업 투자, 사회적기업·창업 지원 등을 포함하는 투자로 사내벤처 투자와 벤처기업 투자 금액이 각각 1조5053억원, 788억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주요 벤처투자 프로젝트는 미래기술육성재단설립 출연, 미래기술육성기금, 음성인식 기술, 광선추적 기술, 벤처파트너스, 사회적기업펀드 조성, 미래창조펀드 조성, 성장사다리펀드 조성 등이 포함됐다.


10대 그룹의 창조경제 인재양성 프로젝트는 국내 1만4180명, 해외 1019명으로 나뉘어 진행될 전망이다. 주요 분야는 소프트웨어(SW) 인력, 산학장학금 지원, 철강대학원 석·박사, 엔지니어링 대학원 석사과정,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석사과정 지원, 항공기 성능개량 기술 육성 등이다.


산업체질강화위원회에 참석한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0대 그룹의 이번 발표에 대해 "창조경제의 씨를 뿌리고 결실을 맺을 주역은 결국 기업"이라며 "창조경제 포털 사이트를 활용해 새로운 사업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투자하는 등 창조경제 구현에 적극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지난 7월 출범한 산업체질강화위원회는 산업부와 경제 5단체가 공동으로 발족한 기구다. 대한상의는 규제 개선, 전경련은 협력적 생태계 조성, 무역협회는 무역 진흥, 중기중앙회는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경총은 노동시장 선진화 분과를 맡고 있다.




임선태 기자 neojwalk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