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래부, 우주기술 활용해 일반산업 부가가치 높인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0초

[아시아경제 노미란 기자]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우주기술로 이용해 일반 산업분야의 신제품 개발, 기존 제품의 기능 개선 또는 생산비 절감 등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우주기술 융복합 지원’ 신규과제를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미래부가 추진하고 있는 ‘우주기술 융복합 지원’의 올해 과제는 △한국형발사체 사업을 통해 개발된 흡음기술을 활용한 ‘청정소음기’(선박용 디젤엔진 등에 장착) 개발과, △정밀 위성항법 기술을 이용한 ‘무인 이동 유도시스템’(농기계·잔디깎기·골프카트 등에 적용) 개발 등이다.

한편, 미래부는 우주기술의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우주 핵심기술 개발’ 신규과제도 선정했다.


우주 핵심기술 개발 신규과제는 △위성체 분야의 ‘QM급 PCM(Phase Change Material) 열제어 장치 개발’, △발사체 분야의 ‘액체추진기관 성능설계를 위한 1차원/MET(Model Evaluation Test) 시뮬레이터 개발’, △탑재체 분야의 ‘위성영상자료 전송용 X밴드 변조기 개발’ 등 3개 과제이다.

특히 위성영상자료 전송용 X밴드 변조기 시장은 미국, 독일 등 일부 국가가 독점하고 있는 분야로, 전 세계적인 위성영상 활용 확대 추세를 감안할 때 개발에 성공할 경우 상당한 수준의 수출창출 및 수입대체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노미란 기자 asiar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