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베노믹스, 글로벌 시한폭탄…WSJ "제2 리먼 공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경제정책을 일컫는 '아베노믹스'가 실패하면 일본 경제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 전체에도 엄청난 후폭풍이 몰아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에서 발간되는 경제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은 28일(현지시간) "아베노믹스가 성공할 경우 유럽의 경기침체와 중국의 성장둔화에도 일본이 세계 경제를 이끌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르겠지만 실패하면 일본 정부의 부채위기가 부각돼 세계 경제는 충격에 휩싸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계 경제 분석업체 루비니 글로벌 이코노믹스의 마이클 마네타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리먼 브라더스의 붕괴 이후 사태가 재현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베노믹스가 세계 경제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지지한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달 들어 세계 경제의 핵심 리스크로 아베노믹스의 실패 가능성을 꼽았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일본의 성장률이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투자자들이 일본 국채의 지속가능성을 의심하는 것이다. 일본의 부채 규모는 국내총생산(GDP)의 2.5배에 이른다. 지금까지 투자자들이 초저금리의 영향으로 일본 국채를 보유중이다.


그러나 아베 총리의 막대한 돈풀기에도 저성장이 계속되면 투자자들은 일본 정부가 빚을 제대로 갚을 수 있을지 의심하게 될 것이다. 이는 일본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일본 정부가 부채를 감당하기 더 어려워질 수 있다. 일본 국채 금리 상승이 세계에 큰 충격을 주게 될 것은 불 보듯 뻔하다.


일본의 부채위기론이 불거질 때마다 나온 "일본 국채의 95%를 일본인이 갖고 있다"는 말도 설득력을 얻기 어려울 듯하다. 앞으로 3~4년 안에 일본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면 가계저축은 줄기 시작할 것이다. 이는 일본인들이 일본 국채를 팔아 치운다는 뜻이다. 향후 7~10년 안에 일본인들의 국채 수요가 포화상태를 나타낼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저널은 일본이 부채위기를 피하려면 아베노믹스의 '세 번째 화살'인 경제구조 개혁부터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첫번째 화살인 통화완화는 이미 시행 중이고, 두번째 화살인 재정 정책은 절반만 시작했지만 아직까지 소심하다는 평가다. 이 때문에 다음달 발표되는 경제구조개혁인 마지막 화살은 담대한 내용이 담겨야 한다는 지적이다.


IMF도 일본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 노동 유연성, 농업ㆍ서비스 부문 개방을 촉구했다.




지연진 기자 gyj@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