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채권은행 장고 거듭..쌍용건설 운명 6월에 결정되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쌍용건설의 워크아웃 개시가 계속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당초 이번 주 중 추가지원에 대한 결론이 날 것으로 예상됐지만 주요 채권은행들이 입장 정리를 계속 미루고 있다. 은행들이 워크아웃에 동의하지 않으면 쌍용건설은 법정관리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 각 은행들의 여신위원회 일정을 고려하면 쌍용건설의 운명은 6월 초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쌍용건설 채권은행들은 이날부터 잇따라 여신위원회를 열고 신규자금 지원과 워크아웃 개시에 대한 찬반 의견을 결정할 예정이다. 28일 한 차례 여신위원회를 열었지만 결론을 내지지 못했던 산업은행은 30일 다시 논의를 하기로 했고 하나은행은 31일, 국민은행은 6월 4일 여신위원회를 열 계획이다.

워크아웃은 채권단의 75%가 동의해야 개시된다.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이 의결권의 24%, 산업, 신한, 국민, 하나, 서울보증보험 등 부채권기관의 의결권이 각각 약 15% 정도다. 부실채권에 대한 지원이 어려운 서울보증보험을 제외하면 산업, 신한, 국민, 하나 중 동의하지 않는 은행이 한 곳이라도 있으면 워크아웃이 무산된다는 얘기다. 금융권에서는 채권은행들의 일정을 감안하면 쌍용건설 추가지원과 워크아웃 개시에 대한 최종 결론은 6월로 넘어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결국 31일 만기가 도래하는 131억원의 어음도 쌍용건설의 자체 자금으로 막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은 이들 은행에서 추가지원과 워크아웃 개시에 대한 서면동의를 아직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1일 금융감독원 기업금융개선국장 주재로 주요 채권은행 여신 담당 부행장들이 긴급회의를 갖는 등 금융당국이 협조를 요청했고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도 설득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돌파구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쌍용건설은 신규자금 4450억원, 출자전환 1070억원, 해외지금보증 2400억원 등이 필요하다.

금융당국과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은 쌍용건설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회생 가치가 크다는 점, 1400여 개 협력업체의 연쇄 부도 가능성 등을 들어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의사 결정을 미루고 있는 다른 채권은행들에서는 워크아웃을 부결시키고 법정관리로 가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기존 지원 자금에 추가 지원금을 더하면 지원액이 1조원을 넘는 등 은행들의 출혈이 너무 크다는 것이 선뜻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이유다. 한 채권은행 관계자는 "현재까지 내부 검토를 계속하고 있어 확정된 사항이 없다"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