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기업 경기 전망 2개월 연속 '부정적'…'엔저의 공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새 정부 출범 직후 '긍정적'으로 돌아섰지만 엔저 여파에 5~6월 연속 '부정적' 전망

대기업 경기 전망 2개월 연속 '부정적'…'엔저의 공포'
AD


[아시아경제 임선태 기자]국내 기업들의 경기심리지수가 3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새 정부 출범 초기 개선세로 돌아섰던 기업 경기심리가 '악화' 기조로 굳어지는 모양새다. 엔저현상에 따른 실적 악화 우려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8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 6월 전망치는 97.2를 기록, 5월 전망치에 이어 2개월 연속 100 미만을 기록했다. 이는 박근혜 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 3월 104.4를 기록한 이후 3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간 기록이다.


BSI는 경기 동향에 대한 기업가들의 판단, 예측, 계획의 변화추이를 관찰해 지수화한 지표다. 일반적으로 지수가 100 이상이면 경기가 좋다고 예상한 기업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100 미만이면 경기가 안 좋다고 판단하는 기업이 많다는 것을 뜻한다.

전망치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기업들은 자금사정(96.7)과 채산성(95.2) 부문에서 가장 큰 우려감을 드러냈다.


업종별로는 중화학공업(95.4)의 경우 고무·플라스틱·비금속광물(77.8), 자동차·트레일러·기타운송장비(85.2) 업종이 가장 큰 부진을 겪을 것으로 예상됐다. 비제조업(96.2)의 경우 전기·가스업(81.5), 컴퓨터프로그램 및 정보서비스(81.8), 건설업(91.7)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부진한 실적을 거둘 것으로 관측됐다.


배상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추경 예산안 국회 통과와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엔저 현상에 따라 기업들의 향후 실적 악화에 대한 염려가 확산된 결과로 풀이된다"며 "6월 국회에서 기업 활동을 위축시키는 경제민주화 관련 법안들이 충분한 검토 없이 일괄적으로 통과될 경우 기업들의 경기심리는 더욱 악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기업경기실사지수 5월 실적치는 97.6을 기록, 전망치와 마찬가지로 2개월 연속 기준선 100을 밑돌았다. 부문별로는 내수(105.7), 수출(103.7), 투자(100.2), 고용(101.7)이 호전된 가운데 자금사정(97.6), 채산성(97.6), 재고(106.8)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




임선태 기자 neojwalke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