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한항공·SKT·포스코..숨죽이던 기업들 영구채 발행 '러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업황 어렵거나 부채비율 높은 곳 '적극'

[아시아경제 이승종 기자] 대한항공, SK텔레콤, 포스코 등 기업들이 내달 영구채(하이브리드채권) 발행을 준비 중이다. 그동안 두산인프라코어 영구채 논란 때문에 발행을 자제하던 기업들이 적극 행보에 나선 것이다.


19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내달 2000억원~3000억원가량의 영구채 발행을 계획하고 있다. 발행 주관은 KB투자증권과 동양증권이 맡았다. 영구채는 만기를 계속 연장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만기가 없는 채권이다. 채권과 주식의 중간 성격을 띠고 있어 하이브리드(hybrid) 채권이라 불린다.

신용등급 'A0'인 대한항공은 별도의 은행 보증은 받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두산인프라코어는 KDB산업은행 등의 신용 보강을 받아 발행 금리를 낮춘 바 있다. 보통 영구채는 일반 회사채 등급보다 한 두 등급 낮게 발행된다. 신용등급이 A0라면 영구채 등급은 A-나 BBB+가 되는 식이다.


SK텔레콤과 포스코도 내달 영구채 발행을 준비 중이다. SK텔레콤은 4000억원~5000억원 규모, 포스코는 5000억원~6000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양 사는 국내 신용등급이 'AAA'인 최우량 기업이다. SKT는 KDB대우증권과 바클레이즈를, 포스코는 씨티글로벌마켓, JP모간, 우리투자증권, KB투자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했다.

업계는 두산인프라코어 영구채 논란이 마무리된 만큼 한동안 영구채 발행이 잇따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주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는 정례 회의를 열고 두산인프라코어 영구채를 회계기준상 '자본'으로 잠정 결론지었다. 두산인프라코어 영구채는 후순위성이 명시돼 있지 않고, 5년 후 5%에 달하는 추가 가산금리가 붙도록 돼 있어 '사실상 부채'라는 논란이 있어 왔다.


특히 업황이 어렵거나 글로벌 신용평가사로부터 등급강등 압박을 받아 온 기업들이 적극적일 전망이다. 지난해 말 포스코는 글로벌 신용등급이 한 차례 강등됐고, SKT는 최근 강등 경고를 받았다. 현대상선, 한진해운, 롯데쇼핑 등도 영구채 발행이 유력한 기업으로 꼽힌다.


한 증권사 회사채 관계자는 "그동안 영구채 발행을 놓고 물밑에서 준비가 많이 됐다"며 "부채비율을 낮춰 재무관리를 하려는 기업들이 적극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승종 기자 hanaru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