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종 뉴스룸]'윤창중 스캔들'…대변인들 "호칭 바꾸고 싶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윤창중 스캔들'이 세종청사에 깊은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이 대통령 방미 중 인턴 여직원을 성추행한 사건은 시간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사건이 일파만파 퍼지면서 세종청사 공무원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다. 일어날 수 없는 일이 일어났고 전체 공무원들이 싸잡아 비난을 받는 것은 아닌지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특히 각 부처 '대변인실'은 때 아닌 후폭풍(?)에 휩싸였다. 윤 전 대변인이 전 세계가 경악할 범죄급 '대형사고'를 치면서 '대변인=성희롱'으로 인식하는 틀이 자리 잡지 않을까 걱정이 태산이다. 실제로 한 부처 대변인은 "대변인이라는 호칭이 이번 사건으로 이미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며 "공보관이나 다른 이름으로 바꾸고 싶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이번 사건의 파장이 만만치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심리적 상처뿐만 아니라 앞으로 공무원들의 해외출장 때 각종 규제는 물론 감시가 철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무원 출장 매뉴얼이 따로 만들어질 것으로 보여 긴장감이 더해지고 있다. 청와대는 앞으로 대통령 해외 방문 때에는 공직기강팀까지 동행시키겠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여기에 '제2의 윤창중'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구체적인 해외출장 매뉴얼이 만들어져 공직기강 확립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의 이 같은 입장은 전체 공무원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책임 범위를 두고도 공무원들은 바짝 엎드려 있다.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했을 때 해당 당사자는 물론 지휘 상에 있는 상관까지 '연대 책임'을 묻겠다고 명확히 했기 때문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3일 수석비서관 회의를 열고 "(윤 전 대변인과)관계되는 자들은 어느 누구도 예외 없이 조사에 적극 협조해야 하고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앞으로 같은 일이 생기면 관련 수석들도 모두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대통령 해외 순방이든, 공무원들 출장이든 앞으로 '사고'를 쳤을 때는 당사자를 비롯한 지휘 상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책임을 묻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한 것이다.

오는 18일 정홍원 국무총리는 제2차 아·태 물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태국으로 출국한다. 국무총리비서실도 긴장감을 놓지 못하고 있다. 세종청사의 한 공무원은 "이번 사건은 전체 공무원 조직에 큰 파장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며 "너무 지나치게 견강부회할 필요는 없다고 해도 어쨌든 '윤창중 스캔들'은 공직 사회에 메가톤급 폭풍"이라고 말했다.



세종=정종오 기자 ikoki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