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래부-산업기술진흥협, '이달의 엔지니어상' 5월 수상자 선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이달의 엔지니어상' 5월 수상자로 임수근 구영에스피 대표와 박기원 미래나노텍 실장을 선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임수근 대표는 자외선 축광표지판 제작에 필요한 인쇄용 잉크와 제작 공정을 개발했으며 박기원 실장은 세계 최초로 메탈 메시를 이용한 대형 정전용량방식의 터치 필름 및 모듈을 개발했다.

임 대표는 자외선 인쇄 공법 개발에 전념해 온 엔지니어 출신으로 30여년간 철도차량 관련 내외장재 부문의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최근에는 자외선 방식의 축광표지판과 양각 인쇄방법을 철도차량에 적용해 2009년 KTX 산천 제작 시 내외장재를 납품했다. 또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특허등록을 통해 2009년 대비 2010년에는 67억원의 매출 증대와 내외장재 분야 기술개발에 크게 기여했다.


임 대표는 "향후 친환경 신기술 공법 개발은 물론 다양한 신제품 개발을 통해 실크스크린 인쇄 산업의 기술력 제고에 아낌없는 노력을 다 할 것"이라고 소감을 말했다.

박기원 실장은 26년간 디스플레이용 광학필름 분야에서 핵심 요소기술 개발과 상용화에 전념해온 엔지니어로, 메탈메시 타입 터치모듈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일체형 PC에 탑재하는 등 상용화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최근에는 대형 터치모듈 제작이 가능한 저저항 투명전극필름의 대량 생산기술을 개발해 20인치급 일체형 제품에 탑재, 지난해 4분기 15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올해는 신제품 개발과 수요처 다각화를 통해 연간 1500억원의 매출 증대를 기대하고 있다.


박 실장은 "중소형 IT제품에 적용되고 있는 터치스크린이 미래의 전자칠판,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등 대형제품으로 확대되고 터치기술은 하나의 생활문화가 될 것"이라며 "향후 한국의 터치산업 기술력 향상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달의 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에서 기술혁신과 현장기술자 우대풍토 조성을 위해 2002년 7월에 제정됐으며, 미래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매월 중소기업과 대기업 부문 각 1명에게 장관상, 트로피 및 상금을 수여하고 있다.




김보경 기자 bkly477@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