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朴대통령 방미]美공조·100兆·3억弗, 세토끼 다 잡았는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5초

[朴대통령 방미]美공조·100兆·3억弗, 세토끼 다 잡았는데…
AD


대북정책 공조, 오바마 대통령 전폭적 지지 이끌어내
내달 시진핑 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對北 등 논의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오종탁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LA)에서 LA시장 주최 오찬을 끝으로 엿새간의 방미 일정을 모두 마무리하고 귀국길에 올랐다. 새정부 들어 처음 이뤄진 이번 방미에서 박 대통령은 한ㆍ미 정상회담을 통해 대북정책 공조를 재확인하고, 한국경제에 대한 불안감을 불식시켜 대규모 투자 유치를 이끌어냈다.


기업 총수들을 포함한 최대 규모의 경제수행단이 동행해 북한 위협을 계기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던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진정시켰다는 평가도 나온다. 박 대통령은 미국 순방에 이어 내달 중국을 방문해 다시 한번 북한 문제를 논의하는 등 미ㆍ중 주요2개국(G2)과 대북 관련 공조를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박 대통령은 4박6일간의 미국 순방 일정을 모두 마치고 귀국길에 올랐다. 박 대통령은 미국 현지시간 9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10일 오전 7시25분)경 LA 공항을 출발했다. 박 대통령은 10일 저녁 늦게 서울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 한미 대북정책 공조 재확인 = 박 대통령이 방미 기간 동안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 양국 관계를 포괄적 전략동맹에서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격상하기로 합의하고, 한미가 긴밀한 대북정책 공조를 재확인했다는 점이 이번 방미의 가장 큰 성과로 꼽힌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박 대통령의 대북기조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지를 이끌어냈다.


[朴대통령 방미]美공조·100兆·3억弗, 세토끼 다 잡았는데…


오바마 대통령은 정상회담 직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한미 양국은 북한과 외교적으로 대화를 나눌 준비가 돼있지만 언제나와 마찬가지로 또 박 대통령께서 말씀하셨듯이 책임은 평양에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도 "제가 제시한 한반도 프로세스 이행을 비롯한 다각적인 이행을 통해서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한ㆍ미 양국이 공동으로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공감했다.


또한 양국 정부가 셰일가스 등 미래 에너지 개발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협력과 교류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한미 대학생 연수취업 프로그램을 5년 연장한 것도 이번 방미의 성과물로 꼽힌다.


다만 개성공단 폐쇄와 북한의 도발위협 등 긴박한 한반도 안보 상황에서 북한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구체적인 해법이 나오지 않은 점은 아쉬운 대목으로 남았다.


◆ 성공적 '세일즈 코리아'로 대규모 투자 유치 = 경제 분야와 관련해서는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정몽구 현대차 회장, 구본무 LG 회장 등 대기업 총수들을 포함, 52명에 달하는 최대 규모의 경제수행단이 동행해 북한 위협을 계기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진정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는 평가다.


박 대통령은 재계 총수들과 가진 첫 간담회 자리에서 삼성, 현대차 등 대기업 총수들로부터 투자 확대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다짐을 받아냈다. 이에 따라 올해 4대 그룹 총 투자 금액이 사상 첫 1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재계는 내다보고 있다.


박 대통령은 한ㆍ미 경제인 오찬 자리에서도 "최근 북한의 도발로 조성된 한반도의 경제 및 안보위기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라는 점을 부각시키며 '세일즈 코리아'에 공을 들였다.


[朴대통령 방미]美공조·100兆·3억弗, 세토끼 다 잡았는데…


이 결과 제너럴모터스(GM)로부터 당초 계획대로 80억달러를 투자하겠다는 답변을 받고, 보잉, 커티스라이트, 올모스트 히어로스 등 7개 기업으로부터 3억800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올렸다.


다만 GM의 애커슨 회장이 지난 2월 발표한 한국 투자 계획을 재확인하면서 엔저와 통상임금 문제에 관련해 조건을 걸어 논란이 예상된다.


◆ 내달 중국 방문, G2와 북한 대응 공조 = 박 대통령의 다음 순방지는 대북 문제 해결의 열쇠를 쥔 중국이다. 박 대통령은 6월 중 베이징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질 전망이다.


한ㆍ중정상회담은 박 대통령의 국내 일정을 고려해 6월 15일 이후에 잡힐 가능성이 크다. 이를 위해 정부는 중국측과 일정 조율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관계자는 "아직 (중국측과)논의하는 과정이라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지만 박 대통령의 방중이 늦어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한ㆍ미 정상회담에서 얻은 자신감을 바탕으로 중국에서도 대북정책 주도 의지를 밝힐 방침이다. 박 대통령은 방미 중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시진핑 주석과 만나면 북한 핵문제, 동북아가 어떻게 하면 빨리 평화와 안정을 찾을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솔직한 대화를 나눠보고 싶다"고 말했다. 또한 "(중국이)물질적인 (경제적인)면에서도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개방ㆍ개혁해서 성장하고 발전하는 모습이 북한에 굉장히 좋은 모델이 될 것"이라며 중국의 역할에 대해 기대감을 나타냈다.


박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에 대한 지지를 부탁하는 한편 서로 대북 경제제재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한ㆍ중 정상회담까지 성공적으로 종료되면 한국과 미ㆍ중 G2의 대북공조가 본격화하면서 한반도 안보위기가 해소국면에 들어갈 것이라고 관측한다.




고형광 기자 kohk0101@
오종탁 기자 tak@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