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용인시 '돈되는것 다 판다'···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용인=이영규 기자]경기도 용인시가 보유 유휴 부동산 매각에 나섰다. 1조원이 넘는 용인경전철 건설로 재정이 휘청이는데 따른 자구책 일환이다.


용인시는 7일 시청에서 국공유지 매각을 위한 설명회를 열고 투자자들을 상대로 매각대상 토지와 절차 등을 안내했다.

시가 이날 처분하기 위해 내놓은 부동산은 ▲국유지 11필지(8709㎡) ▲시유지 19필지(1만4956㎡)다. 우선 국유지는 논, 밭, 임대, 묘지 등으로 매각에 성공하면 시는 매각대금의 16%를 수수료로 받는다. 시유지는 전액 수입으로 잡힌다.


시는 공동묘지 27곳 73만5000㎡를 일반에 매각하기로 하고 매물로 내놓았다. 공시지가는 133억원에 불과하지만 용도가 바뀌면 다양한 쓰임이 가능해 실 매각대금은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공시지가가 810억원에 달하는 용인시청 앞 차량등록과 부지 2만6924㎡도 매각하기로 하고 의회승인절차를 추진 중이다.


아울러 용도 폐지된 도로부지 1300필지, 14만6000㎡와 역시 용도폐지된 배수지 부지 32필지 4만5300㎡도 단계적으로 팔기로 했다. 특히 용도폐지된 도로부지의 경우 재산가치가 높기 때문에 매각이 순조로울 것으로 보고 관련절차를 전담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시는 이외에도 처인구 모현면 갈담리 축산폐수저리장 부지 3580㎡도 매각키로 결정했다.


시 관계자는 "재정난 해소를 위해 불필요한 부동산을 모두 팔기로 했다"며 "특히 도로부지의 경우 매각을 쉽게하기 위해 전담팀에서 용도폐지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앞서 시는 지난달 29일 1조32억원이 투입된 용인경전철 상업운행에 들어갔다. 하지만 당초 승객 목표(3만2000명)의 3분의 1수준인 1만여 명이 탑승해 매년 운영보조비로 200억원 이상을 지불해야 할 상황이다. 이에 따라 시민단체 등은 경전철 폐쇄 등을 포함한 시민대토론회를 추진하고 있다.




이영규 기자 fortun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