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사일 안 쏜 北에 공 던진 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朴대통령 '대화제의' 이어 나토·美와 국제공조 행보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양낙규 기자, 오종탁 기자]박근혜정부가 11일 처음으로 북한에 대화를 제의한 데 이어, 12일에는 국제사회와 공조체제를 다지며 대북 관계에서 주도권을 쥐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 방향을 수정한 데는 여러 요인이 꼽히지만, 10일 전후로 예상됐던 군사 도발이 결국 발생하지 않았다는 게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그간 '대화에는 시점이 있다'는 입장을 밝혀왔는데, 한 고비를 넘긴 지금이 적절한 '타이밍'이란 판단인 셈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12일 오후 2시와 4시 30분 청와대에서 아너스 포 라스무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을 연이어 만난다. 두 만남에선 북한의 군사적 도발 가능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 방안이 논의될 전망이다.

한국을 처음 찾은 케리 장관은 북한 문제에 있어 비둘기파(온건파)로 분류된다. 방한 첫 일정으로 계획됐던 한미연합사령부 방문을 급히 취소한 것도 북한을 군사적으로 자극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보인다. 그는 앞선 3일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외교장관 회담 후 "핵무기가 없는 평화로운 한반도는 우리 양국의 공동 목표다. 남북관계의 개선이 이런 목표를 위해 궁극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케리 장관은 박 대통령을 예방한 후 윤병세 외교부 장관을 만나고, 이어 중국과 일본을 잇따라 방문한다. 그의 이번 동북아 순방이 한반도 위기 국면 타개의 신호탄이 될 지 주목된다. 라스무센 총장 역시 북한에 "위협적 발언과 행동을 중단하라"는 메시지를 보내며 한국과의 대북 공조를 다짐할 것으로 보인다. 라스무센 총장은 청와대 방문 후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만난다.


박근혜정부가 국제사회와 협력해 '대화 분위기'를 고조시키며 '공'은 자연스레 북한 쪽으로 넘어간 모양새다. 당장 구체적 반응이 나올 가능성은 적지만 4월 15일을 주목하는 목소리가 많다. 윤덕민 국립외교원 교수는 "대화제의는 일단 남북 관계에서 긴장을 푸는, 즉 바람을 빼는 효과는 분명히 있을 것"이라며 "충돌 직전 상황에서 북한이 스스로 핸들을 꺾을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하는 차원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15일 이후 개성공단에 대한 나름의 요구사항을 전달하는 등 대화의 단초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앞선 11일 저녁 박 대통령은 새누리당 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과 대화를 할 것"이라고 말하며 대북 강경대응 일변도를 수정했다. 이날 오후에는 류길재 통일부 장관이 "북한 당국은 대화의 장으로 나오길 바란다"고 밝혔다. 대통령과 통일부 장관이 동시에 같은 메시지를 보내며 정부 입장을 '확실히' 정리한 것이다. 지금까지 청와대의 공식 입장은 "섣부른 대화를 시도하진 않는다. 북한이 대화를 먼저 청해야 한다"였다.




신범수 기자 answer@
양낙규 기자 if@
오종탁 기자 tak@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