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親朴계 내부 이상징후…MB 집권초 친이계 행보와 유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21초

요즘친박≒5년전 친이, '여의도 데자뷔'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최근 친박(親朴·친박근혜)계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지 불과 40여일이 지난 시점에서다. 친박계 의원들이 '원조 친박' 출신의 청와대 참모를 공격하고, 친박계 지도부가 반격하는 모습이 연출됐다. 박근혜 정부의 개국공신으로 여겨지는 친박계가 지금까지 똘똘 뭉쳐 단일한 대오를 유지해온 모습과는 사뭇 달랐다. 이를 두고 5년 전 친이(親李·친이명박)계의 전철을 밟는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親朴계 내부 이상징후…MB 집권초 친이계 행보와 유사
AD

사건의 발단은 지난달 20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박근혜 친위대'로 분류되는 정우택·유기준 최고위원이 기초단체장·기초의원 무공천 방침에 반발하면서다. 그러자 신주류 친박으로 분류되는 서병수 사무총장이 "최고위에서 거부하더라도 다시 공심위가 3분의 2 이상의 의결을 하면 자동으로 통과된다는 점을 명심해달라"며 진화에 나섰다.


친박계의 이상징후는 지난달 30일 고위 당·청·청 워크숍에서 절정을 이뤘다. 당시 친박계 의원들이 청와대를 향해 쓴소리에 나선 것이다. 한선교 의원은 이날 워크숍에서 "대통령을 10년 이상 모신 정치인들을 불러놓고 겨우 3개월 모신 사람들이…"라고 질타했다. 김재원 의원은 "비서들이 책임회피나 하고 있다"고 친박 측근들을 정조준했다. 유승민 의원은 청와대 유민봉 국정기획수석을 향해 "여당 의원들에게도 이렇게 전도하듯이 하는데 어떻게 국민과의 소통이 잘될 수 있겠느냐"고 따졌다.

친박계가 충돌하는 현안은 이뿐만이 아니다. 비리혐의에 연루됐다 무혐의 처분을 받은 전직 의원들의 당적 회복을 놓고도 이견을 보였다. 복당 대상자인 현기환·최구식 전 의원, 이들에 대한 복당을 반대한 유기준 최고위원 모두 친박계다.


정치권에선 어김없이 친박계가 분화할 것이란 분석이 많다. 어려운 시절부터 함께 해 온 '원박(원조 친박)', 대열에서 이탈했다가 돌아온 '복박(복귀한 친박)', 비대위 이후 주류로 급부상한 '신박(신주류 친박)' 등이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어서다. 새 정부의 인사나 정책결정에서 소외된 이들의 불만이 결국 표출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 같은 모습은 정권 초기 어김없이 반복됐다. '문민정부'의 상도동계, '국민의정부'의 동교동계는 결국 갈라졌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측근세력인 친노계조차 정권 중반부터 내부 갈등을 표출했다.


특히 친박계의 경우 5년 전 이명박 정부의 친이계의 행보와 여러 면에서 유사하다. 이명박 정권이 출범한 2008년 친이계는 '친박 학살'이라 불리는 공천을 통해 당을 장악했다. 이후 3월 중반부터 이상득 당시 국회 부의장과 이재오 의원을 중심으로 분화되면서 전선이 형성됐다. 다만 당시에는 '공천'을 둘러싼 두 주축세력의 갈등이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정권 초기 한정된 '자리'를 둘러싼 불만이 기폭제로 작용했다는 점은 현재의 친박계와 비슷하다.


친박계는 5월로 예정된 원내대표 선거에서 위기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출사표를 던진 최경환·이주영 의원 모두 친박계로 분류되지만 현재로선 단일화 가능성이 낮다. 다만 청와대에서 보이지 않는 신호를 준다면 교통정리가 쉽게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친박계의 분열은 10월 재·보궐선거 이후로 미뤄질 수도 있다.




이민우 기자 mwle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