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융위기 후 주요 시장서 韓日 격차 줄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 수출시장에서 한국과 일본간 격차가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난해 말부터 환율을 앞세워 일본 기업이 적극 나서고 있는 탓에 차이는 언제든 다시 벌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1일 한국무역협회 산하 국제무역연구원이 공개한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은 2008년 이전까지 2.7% 수준에서 지난해 3.1%로 소폭 늘었다. 같은 기간 일본의 점유율은 5.1%에서 4.6%로 줄었다.

일본의 경우 2000년대 초반까지만해도 7.5%를 기록했으나 이후 꾸준히 하락세를 보였다. 한일간 세계수출시장에서 점유율 차이는 과거 5% 가까이 났으나 지난해 1.5%포인트까지 줄었다.


세계 최대 수입국인 미국시장을 기준으로 보면 한국산 제품의 점유율은 2008년 2.3%에서 지난해 2.6%로 늘었다. 같은 기간 미국시장에서 일본산 제품의 점유율은 6.6%에서 6.4%로 줄었다. 두번째로 큰 시장인 중국에서 한국산의 점유율이 0.7%포인트 낮아진데 반해 일본산 제품의 점유율은 3.5%포인트 이상 떨어졌다.


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 2008년 이후 한국산 제품이 일본제품에 비해 경쟁력을 가지면서 점유율이 늘었다. 엔고 및 원저에 따른 가격경쟁력, 한국기업의 공격적 마케팅 전략, 기술개발 밀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통해 전반적으로 수출확대에 기여했다. 그러나 지난해 말부터 일본 중앙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엔저 등을 등에 업고 반격하고 있는 만큼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협회 관계자는 "엔저에 따라 일본 기업의 수익성이 개선되고 대규모 설비투자로 한국업체에 대한 견제에 나선 상황"이라며 "섬유, 휴대폰, 반도체 등 중국기업이 경쟁력을 개선하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도 전방위적 추격을 뿌리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