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자치구별 ‘랜드마크동’, 아파트값 3.3㎡당 84만원 올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서울 25개 자치구의 랜드마크동(洞)이 아파트값을 3.3㎡당 84만원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각 자치구별 아파트 가격이 가장 높은 동을 랜드마크로 가정한 뒤 가격분석을 한 결과, 강남은 압구정, 서초는 반포, 송파는 잠실이 랜드마크 지역으로 나타났다.

강남권에서는 ‘노른자위’로 꼽히는 랜드마크 지역은 강남구의 압구정동, 서초구 반포동, 송파구 잠실동 등이다. 이중 압구정동 아파트값은 가구당 15억3160만원으로 강남구 평균 9억6990만원에 비해 5억원 이상 비쌌다. 이어 반포동(12억8133만원)은 서초구(9억9917만원)보다 3억원, 잠실동(9억2691만원)은 송파구(7억1121만원)보다 2억원 가량 가격이 높았다.


이밖에 영등포구는 여의도동, 양천구는 목동이 랜드마크로 꼽혔다. 광진구에서는 광장동이 고가 주상복합아파트가 들어선 자양동을 제쳤고 노원구 중계동은 하계동에 랜드마크 자리를 내줬다.

랜드마크 지역을 제외하면 서울 아파트값은 1가구당 3433만원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반포동을 빼면 서초구 아파트값은 3.3㎡당 약 273만원, 가구당 1억325만원 하락했다. 양천구와 영등포구도 랜드마크 지역을 제외하면 구별 아파트값이 각각 3.3㎡당 226만원(가구당 1억91만원), 211만원(1억9575만원) 빠졌다.


김은진 부동산114 과장은 “비싼 아파트가 밀집된 강남권은 지역간 가격차가 크게 벌어진 반면 저가 아파트 비중이 높은 관악·금천·성북구 등지는 랜드마크를 제외해도 하락폭이 작은 가격 평준화 현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반포주공2·3단지 재건축을 기점으로 반포동이 서초동을 밀어내고 서초구의 랜드마크로 떠오른 것처럼 대규모 재건축을 앞둔 강남구 개포동과 강동구 둔촌동 등지가 차세대 랜드마크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배경환 기자 khb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