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월세 지원받은 노숙인 80%, 자립터전 닦았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서울시, 지난해 5월부터 노숙인 490명에 지원… 390명 거리 벗어나

[아시아경제 나석윤 기자] 서울시가 지난해 5월부터 올 2월까지 노숙인 490명을 대상으로 평균 3개월 월세를 지원한 결과 390명(약 79.6%)이 거리를 벗어나 자립터전을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원 이후 주거를 유지하고 있는 390명 중 164명이 취업에 성공해 사회에 복귀했고, 138명은 기초생활수급자로 지정돼 국가의 보호를 받게 됐다고 27일 밝혔다.

지원 대상자의 69%가 거리에서, 31%는 쪽방, 고시원 등에서 생활해 왔다는 점에서 서울시의 노숙인 복지지원정책이 실효를 거두고 있다는 의미다.


월세 지원과 함께 서울시는 쌀과 김치 등 생활에 필요한 물품, 주민등록복원, 장애인등록, 명의도용 고소고발 등까지 노숙인 자활에 힘을 쏟아왔다. 생활용품의 경우 총 304명에게 1인당 10만원 상당의 지원이 이뤄졌다.

이를 통해 주민등록이 말소돼 취업 등 일상적 생활에 제약이 많았던 노숙인 80명의 주민등록이 복원됐고, 장애를 가지고 있는 48명은 장애등록을 통해 필요한 서비스를 받도록 했다.

그 이외에 병원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기도 했다.


특히 자활의지가 강한 노숙인들을 위해선 공공근로 등으로 생계를 꾸릴 수 있도록 구직을 돕거나 새희망 고용지원센터 등을 통해 일자리를 연계하고 자격증 취득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병행했다.


이에 대해 김경호 서울시 복지건강실장은 "임시주거지원사업은 노숙의 가장 근본적 문제인 주거공간을 해결하는 동시에 궁긍적으로는 이들의 자활을 위해 추진됐다"며 "올해도 사업을 지속해 노숙인 자활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이번 달부터 거리노숙인 및 노숙위기계층 350명을 대상으로 최장 6개월간 월세를 지원한다. 또 지원자에 대한 지속적 사례관리와 생활적응 지원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할 예정이다.




나석윤 기자 seokyun1986@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