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삼성그룹 "창조경제 위해 유휴 특허 무상 대여 검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 박민규 기자]삼성그룹 사장단이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창조경제 경영과 그룹의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상품화 하지 않은 유휴 특허들을 중소업체들에게 무상 대여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해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0일 삼성그룹 사장단은 서울 서초사옥에서 '수요회의'를 갖고 '창조경제 경영과 그룹의 과제'를 주제로 논의했다.

정기영 삼성경제연구소 소장(사장)은 "과거에는 생산요소가 토지, 자본, 노동력에 의해 결정됐지만 이제는 기술과 아이디어가 가장 중요한 생산요소가 됐다"면서 "기술과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융복합화를 수단으로 우리 그룹이 무엇을 하면 좋겠는지, 그룹의 과제를 고민해 볼 때가 됐다"고 말했다.


정 소장은 창조경제 경영을 위해 그룹의 과제로 인재 육성 ICT 인프라 고도화 이종산업의 창조적 융합 대중소기업간 상생 적극 추진 등 4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가장 관심을 끄는 부분은 삼성그룹이 보유한 유휴 특허를 중소업체들에게 나눠 주겠다는 것이다.


정 소장은 "삼성전자를 비롯해 삼성그룹에서 보유한 유휴 특허를 중소기업에 대여하는 등 적극적으로 기술 전파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동반성장을 위해서 중소기업의 창조성을 제고하고, 이를 위해 기술 이전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휴 특허는 삼성그룹이 특허를 보유하고 있지만 실제 제품화 하거나 특허료를 받지 않는 특허들을 의미한다. 삼성그룹은 이들 유휴 특허를 중소기업들에게 대여하며 핵심 기술들을 이전해 중소기업들이 해당 특허로 파생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등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그룹 고위 관계자는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계열사들이 갖고 있는 특허중에는 실제 상품화 하거나 특허료를 받지 않는 특허들도 많다"면서 "이들 특허들을 그냥 쌓아두기 보다는 중소기업에 대여해 파생되는 새로운 기술들을 만드는 등 융복합화를 통한 새로운 협력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 소장은 창조경제의 핵심자산인 인재를 적극 육성하는 한편 정보통신기술(ICT)를 이용해 인프라와 산업을 고도화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더해 이종 산업의 창조적 융합을 통해 삼성그룹 전 계열사가 세계 시장 개척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중공업, 건설, 화학 등 삼성그룹 계열사 전부가 IT 서비스 등과의 결합을 통해 세계 시장 진출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정 소장은 "소프트웨어 인재 교육을 더욱 확대하고 ICT를 기반으로 한 인프라와 산업을 고도화해야 한다"면서 "이종산업과의 창조적 융합을 통해 세계 시장 개척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삼성그룹 사장단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권영걸 교수를 초빙해 '궁극의 선택, ABC 디자인'에 대한 강의를 청취했다. ABC 디자인은 자연과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디자인 트렌드로 기존 산업화 시대의 편리함 위주의 디자인 보다 자연과 인간의 건강을 제일 우선으로 삼는 것이 특징이다.


권 교수는 삼성그룹 사장단에게 "지금까지 디자인이 전문가들이 자기 의지대로 해왔다면 ABC 디자인은 누구나 할 수 있고 함께 할 수 있는 디자인"이라며 "제조가 아니라 재배한다는 개념으로 디자인에 대한 발상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명진규 기자 aeon@
박민규 기자 yushi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