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시진핑·리커창 라인…박삼구·이재용 인맥 탄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중국 전인대서 주석·총리로
정준양·강덕수도 친분 두터워


시진핑·리커창 라인…박삼구·이재용 인맥 탄탄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왼쪽)이 지난 2009년말 신라호텔에서 열린 시진핑 중국 국가 부주석(현 국가주석) 초청조찬회에 참석해 시 부주석과 환담을 나누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시진핑 시대를 이끌 중국 주요 지도부와 국내 재계 인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내 재계에서 시 주석 측 인사들과 가장 탄탄한 인맥을 맺고 있는 인물은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꼽힌다. 박 회장은 우리나라와 중국간 민간 외교 사절 역할을 하고 있는 한중우호협회의 협회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박 회장은 지난 2009년 시진핑 총리의 방한 당시 조찬을 함께 했다.

박 회장은 리커창 총리와는 두 차례 만나 연을 다졌다. 박 회장은 2005년과 2011년에 각각 리커창 총리 내정자와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이어 후진타오 전 국가 주석, 원자바오 전 총리 등도 박 회장이 만난 최고 지도자들이다.


이외에도 박 회장은 리위안차오 국가 부주석과도 3차례 한국과 중국 등지에서 만나 환담을 나누는 등 친분이 두텁다. 리위안차오는 남경 금호타이어 공장 준공식 때 참가해 박 회장과 환담을 나눴으며 2008년 당 중앙조직부장 재직시에도 박 회장과 만났다.


박 회장은 왕이 외교부장 등과도 수차례 교류하면서 두터운 친분을 갖고 있다. 박 회장은 2008년 왕이 부장이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축하 특사로 한국에 들어왔을 때 환영 조찬을 마련해 그를 맞았다. 같은 해 3월에는 중국에서 열린 한 포럼에서 만나 친분을 이어갔으며 지난해 박 회장의 중국 출장시에도 만났다.


박 회장은 이같은 인맥을 통해 향후 양국간 경제 외교와 문화교류 증진을 위한 키메이커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역시 시진핑 주석과 오래전부터 인연을 쌓아 왔다. 이 부회장과 시진핑 주석과의 만남은 지난 200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시진핑 당서기가 삼성전자 수원 사업장을 방문하면서 이 부회장과 인연이 시작됐다. 이후에도 시진핑 주석과 이 부회장은 중국 사업에 대한 장기협력 방안 등을 논의할 정도로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부회장은 리커창 총리와도 친분이 남다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지난해 6월 최지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과 함께 리커창 총리를 만나는 등 삼성 수뇌부가 중국 차세대 지도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강덕수 STX그룹 회장은 2005년 리커창 총리가 랴오닝성 당서기 시절 만나 친분을 쌓았다. 강 회장은 당시 한국에 방문한 리커창 총리에게 STX진해조선소를 안내하기도 했다. 이후 강 회장은 랴오닝성 다롄에 STX조선소 세웠다. 강 회장은 2011년10월 리커창 부총리 방한 당시 총리실 주최 만찬에 한국 기업인 중 유일하게 초대 받기도 했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2005년 시 주석이 저장성 당서기 시절 한국을 방문했을 때 광양제철소에서 연을 맺었고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2009년 시진핑이 참석한 경제 4단체 초청행사에 초대된 바 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