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의회 '삼성불산누출 조사단'출범···성과는 "글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수원=이영규 기자]경기도의회가 지난달 말 발생한 삼성전자 반도체 화성사업장 불산 누출 사고와 관련, 12명으로 합동조사단을 구성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하지만 경기도가 조사단 참여를 거부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 지 의문이다.


13일 도의회에 따르면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의 불산 누출 원인과 후속 조치 등에 대한 전반적 점검을 위해 도의원 6명과 민간인 6명 등 모두 12명으로 구성된 '삼성전자 불산 누출사고 합동조사단'을 구성했다. 합동조사단은 우선 14일 예정된 제1차 회의에서 구성 인원을 최종 확정한 뒤 향후 일정을 논의한다.

이번 합동조사단에는 사고발생 지역인 화성 출신 권칠승(민주통합당ㆍ화성3)ㆍ조광명(민주통합당ㆍ화성4) 의원과 양근서(민주통합당ㆍ안산6)ㆍ조성욱(새누리당ㆍ용인2)ㆍ홍범표(새누리당ㆍ양주2)ㆍ최재연(진보신당ㆍ고양1) 의원 등이 참여한다.


민간인은 ▲관련 분야 박사 학위 소지자 2명 ▲시민단체 2명 ▲동탄지역 주민대표 2명 등이다. 도의회는 조사단의 조사결과를 늦어도 오는 27일까지 마무리 짓고, 발표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번 조사단이 큰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는 화성사업장 관리감독 권한을 갖고 있는 경기도가 조사단 참여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지난 5일 경기도의회 사상 최초로 진행된 '긴급현안질문' 답변에서 "경기도에서 공무원이 합동조사단을 구성한 전례가 없다"며 "의원들의 의정활동과 조사활동 등 행정적, 재정적 지원은 하겠지만 공무원이 같이 조사단에 참여하는 것은 들어본 적이 없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의 경우 경찰, 환경부, 고용노동부 등과 공동으로 관련법규에 따라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점도 도의회 주도 조사단참여가 어려운 이유로 꼽았다.


김 지사는 아울러 삼성전자 측이 유해화학물질을 직접 관리하지 않고 하청업체에 맡기면서 문제가 됐다며 앞으로 재발방지를 위해 유독물질 관리는 반드시 삼성 측이 관리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27일 경기도 화성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에서 불산이 누출돼 작업자 1명이 숨지고 4명이 다쳤지만 삼성전자는 불산 누출 사고와 피해자 보고 사실 등을 뒤늦게 신고해 사건 은폐 의혹을 받아 왔다.




이영규 기자 fortun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