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박인화 의원 “완제품 김치 공동구매서 제외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박성호]


“신선도·안전성 보장 힘들어…원산지도 불투명”

광주광역시교육청이 최근 추진하고 있는 친환경식재료 공동구매에서 식재료가 아닌 완제품인 ‘김치’는 제외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인화 의원 “완제품 김치 공동구매서 제외해야”
AD

6일 광주광역시의회 박인화 교육위원장에 따르면 광주시교육청은 오는 15일 친환경식재료 공급협력업체 선정위원회를 열고 쌀·잡곡·고추가루·김치 등 4개 품목에 대한 공동구매 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교육청은 지난 5일 광주시와 전남도로부터 추천받은 53개 업체가 참여한 품평회를 열었다.

시교육청은 “쌀, 잡곡, 고추가루와 같이 원식자재가 아닌 김치를 품목에 포함시킨 것은 현재 고등학교 급식 여건상 김치를 담가 먹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대부분 업체 물품을 구입하고 있기 때문에 공동구매를 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현재 초·중학교는 2주일에 1번씩 김치를 담가 먹고 있고 고등학교의 경우 한 달 물량을 발주해 매일 몇십㎏씩 업체로부터 공급받고 있다.


하지만 김치는 배추·고추가루·양파·생강·파 등 수십가지의 식자재가 혼합된 완제품으로 특정 몇 가지의 원재료만 국산이면 국내산으로 표기할 수 있어 원산지 확인이 불투명하다. 즉 일단 버무린 다음에는 원식자재의 신선도·안전성 등을 충분히 검수할 수 없다.


실제 지난해 4월 A여고와 B고교에서 발생한 식중독의 원인이 외부업체에서 납품한 김치 때문이었다.


당시 식약청과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은 “김치를 제조한 공장 지하수에서 발견된 노로바이러스가 원인이 되어 식중독이 발병했다”고 밝혔다.


박인화 교육위원장은 “학교 급식에 김치를 공동구매로 업체를 선정하겠다는 것은 모든 반찬을 반찬가게에서 사먹는 것과 다를 바 없는 것”이라며 “쓰레기만두 파동, 김치 식중독 사건 등을 겪으면서 일선학교는 반제품이나 완제품으로 급식하는 것 자체를 지양하고 신선한 원식재료를 직접 조리하려고 애쓰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시교육청은 일선학교의 노력에 역행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이어 “김치는 대량생산하는 공산품과는 달리 예로부터 우리 어머니들의 세심한 재료 선택과 가족의 건강을 염려하는 정성이 들어 있는 식품”이라며 “우리 김치가 세계적으로 우수한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박성호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