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용준 사퇴, 朴 당선인 새정부 인선에 차질 우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아시아경제 이윤재 기자]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가 29일 총리 후보자직을 전격 사퇴하면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차기 정부 조각에도 큰 차질을 빚게 됐다.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 국무총리 후보자는 이날 오후 박 당선인과 면담을 가진 끝에 총리 후보자직 사퇴를 결심했다. 김 위원장은 사퇴 발표문을 통해 "저의 부덕의 소치로 국민 여러분께 걱정을 끼쳐 드리고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에게도 누를 끼쳐 드려 국무총리 후보자직을 사퇴하기로 결심했다"고 밝혔다.

앞서 박 당선인은 지난 24일 직접 김 위원장을 차기 총리 후보자로 지명한다고 밝힌바 있다. 이후 김 위원장의 두 아들 병역문제와 부동산 투기 논란 등이 김 위원장의 도덕성과 관련한 논란이 불거졌고, 김 위원장은 끝내 자진사퇴를 선택했다.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된지 엿새만의 일이다.


이번 김 위원장의 사퇴는 인수위의 인사 검증 시스템의 문제를 확인시킨 것으로 평가된다. 그 동안 박 당선인과 인수위는 인선은 검증 시스템의 부재 등의 지적과 함께 '밀봉 인사', '불통 인사'라는 여론의 핀잔 섞인 평가를 받아온 것을 입증했다는 설명이다. 때문에 박 당선인의 지금과 같은 시스템으로 인선을 한다면 야당과 여론의 비난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또 새 정부 초대 총리 지명자가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난 것은 헌정사상 처음 있는 일이라는 점도 부담이다. 이로 인해 향후 인선은 도덕성 검증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 지명한 총리 후보자가 비슷한 도덕성 논란에 휩싸인다면 향후 박 당선인의 국정운영 자체가 흔들릴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시간도 문제다. 총리 후보 인선이 이뤄져야 경제부총리, 미래창조과학부 등 장관 인선이 가능하다. 새 정부 출범이 한달도 남지 않은 시점이기 때문에 국회의 인사청문회 일정 등을 고려하면 조속한 시일내에 새로운 총리 인선을 마무리 지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5년전과 같은 촌극이 반복될 가능성도 있다. 당시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은 정부조직개편과 인선 등으로 인해 야당과 갈등을 겪으면서 새정부 첫 국무회의를 전임 총리가 주재한 바 있다.




이윤재 기자 gal-ru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